상이암부도 (上耳庵浮屠)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소재지 : 전북 임실군 성수면 성수리 산85
상이암은 성수산 골짜기에 있는 암자로 신라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창건하여 도선암(道詵庵)이라 하였다고 하는데, 도선국사가 고려 태조 왕건과 강산을 답사하던 중에 성수산(聖壽山)에 이르러 좌우산천의 아름다움을 살펴보고, “이곳이야말로 가히 하늘이 응하고 땅이 도와주는 처소이다. ”라고 말하면서 장차 이곳에서 여덟성인이 나올 것이라 예언하여 팔공산(八公山)이라 하였다 하며,
일설에 의하면 조선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 와서 치성을 드리니, 위에서부터 후에 왕이 되리라는 소리가 들렸다하여 상이암으로 개칭하였다 한다. 그후 태조 3년(1394)에 각여대사가 크게 중수하였고, 고종 31년(1894) 동학혁명 때 병화입은 것을 순종 3년(1909) 10월에 김대원선사가 재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의병대장 이석용이 상이암을 근거지로 해서 항일운동을 전개했으나 그 여파로 상이암은 일본군대에 의해 불에 탔다. 1912년에 대원스님이 중건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던 것을 1958년에 상이암재건위원회에 의해서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상이암 부도는 경내 후원에 총 3기의 부도가 있는 그중 ‘해월당’, ‘두곡당’ 라는 호를 가진 승려의 사리를 모신 부도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4호호 지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1기는 사리의 주인공이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된 부도는 주인공이 밝혀지지 않는 부도로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부도는 바닥돌 위로 전체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기단(基壇)을 두고, 그 위로 위아래를 자른 계란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후 지붕돌을 얹은 모습인데, 탑몸돌을 제외한 각 부분이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위로, 둥근모양의 돌과 버섯모양의 돌이 차례로 올려져 길쭉한 머리장식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각 부분을 이루는 조각이나, 만든 솜씨가 섬세하면서도 뛰어나다.
'☞ 들꽃의 문화재답사 > 시도유형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석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 (0) | 2013.10.25 |
---|---|
[문화재답사/밀양]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7호 (0) | 2013.10.22 |
[문화재답사/거창] 고견사 석불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0) | 2013.10.12 |
[문화재답사/거창] 춘당문집 책판 및 춘정집 책판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0) | 2013.10.09 |
[문화재답사/거창] 대동여지도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0) | 201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