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 22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화암사 우화루 - 보물 제662호

완주 화암사 우화루 (完州 花巖寺 雨花樓) / 보물 제662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경천면 화암사길 271 (가천리) 화암사는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있는 절로 본사인 금산사에 딸린 절이다. 절을 지을 당시의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원효와 의상이 유학하고 돌아와 수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송광사 종루 - 보물 제1244호

완주 송광사 종루 (完州 松廣寺 鍾樓) / 보물 제1244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 송광사 (대흥리)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제자를 시켜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송광사 대웅전 - 보물 제1243호

완주 송광사 대웅전 (完州 松廣寺 大雄殿) / 보물 제1243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송광수만로 255-16, 송광사 (대흥리)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제자를 시켜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 보물 제608호

완주 위봉사 보광명전 (完州 威鳳寺 普光明殿) / 보물 제608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위봉길 53, 위봉사 (대흥리) 위봉사는 백제 무왕 5년(604)에 서암대사가 지었다는 설과 신라말에 최용각이라는 사람이 절터에서 세 마리 봉황새가 노는 것을 보고 위봉사(圍鳳寺)라 이름 지었다는 이..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화암사 극락전 - 국보 제316호

완주 화암사 극락전 (完州 花巖寺 極樂殿) / 국보 제316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1078 화암사는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있는 절로 본사인 금산사에 딸린 절이다. 절을 지을 당시의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원효와 의상이 유학하고 돌아와 수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라 문무왕 ..

[문화재답사/완주] 화암사동종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화암사동종 (花岩寺銅鐘)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 가천리 1078 이 동종은 극락전 안에 있으며 전체 높이 140㎝, 몸체 높이 85㎝, 입 지름 70㎝이다. 종의 맨 윗부분에는 꽃을 세워 도드라지게 장식한 문양이 있다. 어깨에는 간략화된 꽃무늬 띠를 둘렀다. 어..

[문화재답사/완주] 위봉사요사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위봉사요사 (威鳳寺寮舍)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21 주촬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위봉사는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통일신라말 최용각이라는 사람이 이곳에서 세 마리의 봉황이 절터를 에워싸고 싸우는 모습을 보고 위봉사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