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여행]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가지 모습으로 그린 탱화를 모신 밀양 표충사의 팔상전 [밀양여행]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가지 모습으로 그린 탱화를 모신 밀양 표충사의 팔상전 표충사팔상전 (表忠寺八相殿)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1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사는 통도사에 딸린 절로, 사명대사의 충훈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표충사당이 있는 절이..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13.11.03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석조석가여래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8호 표충사석조석가여래좌상 (表忠寺 石造釋迦如來坐像)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8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사 팔상전 주존으로 모셔진 이 불상은 호분으로 도색된 상태의 석조여래좌상이다. 부분적인 훼손상태는 호분도색으로 후보 하였고 나발, 육계, 승각기의 표..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13.10.31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영정 및 탱화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8호 표충사 영정 및 탱화 (表忠寺影幀및幀畵)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8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사 경내의 유물관과 사당에 일괄로 지정되어 전시되고 있는 초상화 25폭과 탱화 1폭이다.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걸어두는 불화를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13.10.27
[절집여행] 약사삼불의 창건설화가 전하는 삼척의 영은사 [절집여행] 약사삼불의 창건설화가 전하는 삼척의 영은사 삼척의 영은사 동해시에 있는 삼화사와 함께 약사삼불의 창건설화 전한다. 약사삼불인 백(伯), 중(仲), 계(季) 삼형제가 서역에서 돌배를 타고 가다가 우리나라 동해안에 이르렀다. 맏형은 지금의 삼화사인 흑련대에 머물렀고, 둘.. 강원도여행 2012.10.22
[문화재답사/삼척] 삼척영은사팔상전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삼척영은사팔상전 (三陟靈隱寺八相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924 영은사는 통일신라말에 범일조사가 지은 절이다. 절에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면 팔상전은 조선 인조 19년(1641)에 지었다고 하는데, 건축양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의 모습을 보이고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12.10.21
[문화재답사/보은] 보은 법주사 팔상전 - 국보 제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 국보 제55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은 절이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10.05.22
[문화재답사/공주] 갑사팔상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갑사팔상전 (甲寺八相殿)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4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에 아도화상이 처음 지었고, 통일신라 문무왕 19년(679)에 의상이 고쳐 지었다고 한다. 그 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고치고 넓혀 지..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9.07.07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도 - 보물 제925호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도 (雙溪寺八相殿靈山會相圖) / 보물 제925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석가가 영취산에서 설법한 내용을 묘사한 영산회상도이다. 크기는 길이 410㎝, 폭 273㎝이다. 석가불을 중심으로 사천왕상, 여러 보살, 제자 등의 무리가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팔상전팔상탱 - 보물 제1365호 쌍계사팔상전팔상탱 (雙磎寺八相殿八相幀) / 보물 제1365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쌍계사팔상전(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87호)에 모셔져 있는 불화로, 석가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묘사한 팔상탱이다. 탱화란 액자나 족자형태로 만들어 법..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팔상전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쌍계사팔상전 (雙磎寺八相殿)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7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는 지리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신라 성덕왕 23년(724)에 삼법이 처음 지었다. 석가모니의 생애를 그린 팔상도를 모신 팔상전은 고려 충렬왕 16년(1290) 진정국사가 처음 지었고..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