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정약용 유적 (康津 丁若鏞 遺蹟) / 사적 제107호
소재지 :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103-2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11년간 머물면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곳이다.
정약용은 여유당(與猶堂) 등의 여러 호를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 이름으로는 요한(Johan)이라 하였다. 정조임금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으며, 유형원과 함께 수원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수원성(화성)을 쌓기도 했다. 정조가 죽자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투옥되어 유배되었고, 그 후 18년 간의 유배생활 동안 그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정약용의 사상은 한국사상의 원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다산초당의 모습
한가지 의문점은 다산초당(茶山草堂), 초(草)는 풀을 뜻하는 것으로 초가집이라고 생각되는데 웬 기와집이 놓여 있냐는 것입니다. 유배생활을 하면서 과연 이런 기와집을 짓고 살았을지 복원하시는 분들이 좀더 고증을 거쳐야 하겠습니다.
다산유물전시관을 나와 오른쪽으로 다산초당으로 가는 길입니다.
저기 마지막계단 끝에 다산초당의 모습이 보입니다.
다산초당은 다산이 제자들을 가르치고 책을 썼던 곳이다. 원래는 윤단의 산정이었으나 서로 교분을 나누면서 그에게 거처로 제공되었다. 1957년 다산유적보존회가 허물어진 초가를 치우고 다시 지으면서 기와로 복원하였다. 조만간 짚을 덮은 본래의 초당으로 복원될 예정이다.(앞의 의문이 해소되었지만, 글쎄요 안내문에 기록될 정도이면 이미 복원되어 있어야 하는데, 초가집 한 채 짓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는지 궁금합니다.)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친필을 집자해서 모각한 것이다.
서암은 윤종기 등 18인의 제자가 기거하던 곳이다. 차와 벗하며 밤 늦도록 학문을 탐구한다는 뜻으로 다성각이라고도 하며, 1808년에 지어져 잡초 속에 흔적만 남아 있던 것을 1975년 강진군에서 다시 세웠다.
정석(丁石)
유배를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직전 다산이 직접 새겼다고 전해지는 정석은 다산초당의 제1경이다. 아무런 수식도 없이 자신의 성인 정(丁)자만 따서 새겨 넣은 것으로, 다산의 군더더기 없는 성품을 그대로 보여준다.
다조
다산이 이곳에 오기 전부터 있던 이 돌은 차 달이는 부뚜막으로 쓰던 것이다. 다산은 이곳에서 약천의 물을 떠다 솔방울로 숯불을 피워 찻물을 만들었다. 다산초당의 제3경이다.
연지석가산
연못 가운데 돌을 쌓아 만든 산이다. 다산은 원래 있던 연못을 크게 넓히고 바닷가의 돌을 주워 조그마한 봉을 쌓아 석가산이라 하였다. 연못에는 잉어도 키웠는데, 유배생활에서 풀려난 후 제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잉어의 안부를 물을 만큼 귀히 여겼다. 다산은 잉어를 보고 날씨를 알아내었다고 한다.
약천
가뭄에도 좀처럼 마르지 않는 이 샘은 다산초당의 제2경이다.
처음에는 물이 촉촉히 젖어있던 것을 다산이 직접 파니 돌 틈에서 맑은 물이 솟아나왔다고 한다. 다산은 약천의 물을 마시면 "담을 삭이고 묵은 병을 낫게 한다"고 기록하였다.
동암
송풍루라고도 불리는 동암은 다산이 저술에 필요한 2천여 권의 책을 갖추고 기거하며 손님을 맞았던 곳이다. 다산은 초당에 있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이곳에 머물며 집필에 몰두했으며, 목민관이 지녀야 할 정신과 실천방법을 적은 목민심서도 이곳에서 완성했다. 1976년 서암과 함께 세웠는데 현판 중 보정산방은 추사의 친필을 모각한 것이고 다산동암은 다산으리 글씨를 집자한 것이다.
천일각
천일각이라는 이름은 '하늘 끝 한 모퉁이'라는 뜻의 천애일각을 줄인 것이다. 다산의 유배시절에 없던 건물인데, 돌아가신 정조대왕과 흑산도에 유배 중인 형님 정약전이 그리울 때면 이 언덕에 서서 강진만을 바라보며 스산한 마음을 달랬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1975년 강진군에서 새로 세웠다.
천일각에서 바라보는 강진만 풍경
백련사를 갔다가 돌아가는 길의 다산초당 모습
'☞ 들꽃의 문화재답사 > 사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재답사/수원] 수원 화성 - 사적 제3호(2009.05.04) (0) | 2009.06.03 |
---|---|
[문화재답사/강화] 강화 참성단 - 사적 제136호 (0) | 2009.05.26 |
[문화재답사/강진] 강진 전라병영성 - 사적 제397호 (0) | 2009.05.17 |
[문화재답사/영암] 영암 구림리 요지 - 사적 제338호 (0) | 2009.05.12 |
[문화재답사/나주] 나주목 관아와 향교 - 사적 제483호 (0) | 2009.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