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민속문화재

[문화재답사/제주] 돌하르방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호

들꽃(野花) 2013. 5. 4. 18:01

돌하르방 (돌하르방)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호

소재지 : 제주 제주도일원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 벅수머리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석상들은 제주목(濟州牧)·정의현(旌義縣)·대정현(大靜縣)의 성문 앞에 세웠던 것으로, 현재는 제주대학·시청·삼성혈·관덕정 등에 산재하여 있으며 제주시내에 21기, 성읍(城邑)에 12기, 대정의 인성·안성·보성에 12기 등 도합 45기가 있다. 돌하르방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제주 187㎝, 성읍 141㎝, 대정 134㎝로 제주시의 것들이 대체로 키도 크고 위엄을 풍긴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크기나 모습에 차이가 있긴 하나, 머리에 꼭끼는 벙거지 모자·부리부리한 왕방울눈·몽툭한 주먹코·굳게 다문 입·배부분에 가지런히 모아 붙인 손 모습 등 공통적인 모습이다.


제작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 영조 30년(1754)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은 여기저기 떨어져 있지만 원래는 제주현·정의현·대정현의 성문 앞에 세워 성안의 위엄을 보이고, 경계표시와 성문의 수호신으로서의 종교적 기능도 담당하였던 것이다.


육지의 장승과는 달리 제주도 특유의 해학과 풍자스러움을 풍기는 조각물로서 오늘날 제주의 대표적인 상징물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제주 돌하르방 목록

순번 종목 소재지
1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호 제주 제주시  이도2동 983-1 관덕정내
2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호 제주 제주시  일도2동 923번지 자연사박물관 정문 앞
3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호 제주 제주시  일도2동 923번지 자연사박물관 정문 앞
4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호 제주 제주시  제주시 이도1동 996-1
5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5호 제주 제주시  이도2동 983-1
6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6호 제주 제주시  이도2동 983-1
7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7호 제주 제주시  이도1동 1282-1번지외 (삼성혈 입구, 삼성혈 건시문전)
8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8호 제주 제주시  이도1동 삼성혈 입구
9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9호 제주 제주시  이도1동 삼성혈 건시문전
10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0호 제주 제주시  이도1동 삼성혈 건시문전
11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1호 제주 제주시  아라1동 1번지 제주대학교
12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2호 제주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 정문
13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3호 제주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 현관
14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4호 제주 제주시  아라동 제주대 현관
15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5호 제주 제주시  이도2동 1176-1번지 제주시청
16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6호 제주 제주시  이도1동 1176-1번지 제주시청
17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7호 제주 제주시  연동 302-3번지외 1필지
18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8호 제주 제주시  연동 KBS 현관
19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19호 제주 제주시  용담2동
20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0호 제주 제주시  용담2동 공항입구
21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1호 제주 제주시  아라동 목석원 경내
22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2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동문 : 북우
23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3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동문 : 북좌
24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4호 제주 서귀포시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이 동문 : 남우
25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5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동문 : 남좌
26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6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서문 : 북우
27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7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서문 : 북좌
28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8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서문 : 남우
29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29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서문 : 남좌
30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0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남문 : 동우
31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1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남문 : 동좌
32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2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넘뮨 : 서우
33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3호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남문 : 서좌
34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4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신편간 도로변
35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5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사무소 입구 : 남
36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6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리사무소 입구 : 북
37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7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서문 옹성내
38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8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보성초등학교 운동장 입구
39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39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보성초등학교 입구 : 북
40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0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보성초등학교 입구 : 남
41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1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남문 : 동
42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2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 남문 : 서
43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3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추사관입구 : 동
44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4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추사관 입구 : 서
45 제주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재  제2-45호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인성리 동문옹성내

 

 

  문헌에는 옹중석(翁仲石)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주민들은 대부분 우석목이라 불렀다. 우석목은 ‘우석(偶石)+목(木)’의 합성어이며 석상의 형태를 칭하는 ‘偶石’과 기능을 뜻하는 ‘木’의 복합어이다. 여기서 ‘木’이란 단어는 제주도의 집 입구에 세워 두는 정주목의 ‘목’과 쓰임새가 같다. 정주목은 집 출입구에 대문 대신 세우는 좌우 구멍이 세 개 뚫린 기둥을 말한다. 기둥으로는 흔히 목재와 석재가 쓰인다. 여기에 정낭을 끼워 우마나 외인의 침입을 막았다. 원래 나무로 쉽게 세우다가 비가 많은 제주도 특성상 썩고 부러져 돌로 제작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석익(金錫翼)의 ≪탐라기년 耽羅紀年≫에 의하면, 1754년(영조 30) 목사 김몽규가 성문 밖에 세웠다고 되어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8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7호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9호(오른쪽)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10호(왼쪽)

 

 

 

제주 삼성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