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373

[문화재답사/보령] 성주사지석계단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0호

성주사지석계단 (聖住寺址石階段)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40호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 성주사는 백제시대 사찰로, 백제멸망 직전 붉은 말이 이 절에 나타나 밤낮으로 여섯 번이나 절을 돌면서 백제의 멸망을 예시해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현재 절터에..

[문화재답사/인제] 인제향교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인제향교(麟蹄鄕校)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3호 인제향교는 인제군청에서 원통으로 나가는 도로 좌측에서 안으로 조금 들어가 있는 곳으로 조선 태조 7년(1398)에서 태종 7년(1407) 사이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481)에 의하면, 인제향교는 "현의 동쪽 1리..

[문화재답사/인제] 상동리 삼층석탑 및 석불좌상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4호

상동리삼층석탑및석불좌상 (上東里三層石塔및石佛坐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4호 소재지 : 강원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 산1-3(백련정사) 장마비가 내리던 날 강원도 인제의 레포츠를 즐기려 1박 2일의 여행을 떠난다. 요즘 인제는 내린천에서의 래프팅, 리버버깅, 짚트랙, 번지점..

[문화재답사/태안] 남문리오층석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남문리오층석탑 (南門里五層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 소재지 : 충남 태안군 태안읍 남문리 435-1 남문리 마을 안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널찍하게 마련한 돌단 위에 놓여 있다. 몇년 전까지 주변에서 기와조각이 발견되었고, 인근 민가 앞에서 작은 석불(石佛)이 발견..

[문화재답사/울진] 불영사 부도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불영사 부도 (佛影寺 浮屠)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2호 소재지 : 경북 울진군 서면 하원리 산34 불영사로 들어가는 입구 옆에 자리하고 있는 사리탑으로, 조선 전기의 승려인 양성당 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양성당 선사의 이름은 혜능(惠能)으로, 12세에 출가하여 승려의 길에 들..

[문화재답사/예천] 예천권씨병암정 및 별묘 - 문화재자료 제453호 (예천군)

예천권씨병암정및별묘(醴泉權氏屛巖亭및別廟) / 문화재자료 제453호 (예천군)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성현리 93 병암정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으로 정자들 동쪽의 병풍처럼 생긴 큰 바위 위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 건물은 예천 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가인 권원하와 관련이 있는 ..

[문화재답사/예천] 예천권씨영사당종택 - 문화재자료 제454호 (예천군)

예천권씨영사당종택(醴泉權氏永思堂宗宅) / 문화재자료 제454호 (예천군)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하금곡리 497 예천권씨영사당 종택은 임진왜란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던 영사당 권우(1520~1593)가 1580년경에 건립한 살림집이다. 현재의 종택은 1780년을 전후하여 중수한 것인데, 안대청의 좌우에 둔 ..

[문화재답사/예천] 반송재고택 - 문화재자료 제262호 (예천군)

반송재고택(伴松齋故宅) / 문화재자료 제262호 (예천군)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462 갈천 김빈이 살던 가옥이다. 김빈은 조선 숙종(재위 1674∼1720) 때 도승지, 예조참판 등을 지낸 문신으로 벼슬을 그만둔 후 고향인 이곳으로 내려와 살았다. 이 집은 김빈의 아우 김정이 세운 것으로 후에 ..

[문화재답사/예천] 상금곡사괴당고택 - 문화재자료 제337호 (예천군)

상금곡사괴당고택(上金谷四槐堂古宅) / 문화재자료 제337호 (예천군)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430 상금곡리는 원주 변씨와 함양 박씨가 모여 사는 마을이다. 이 집은 첨추공파로 이 마을에 처음으로 와서 자리를 잡은 변희리(1435∼1505)의 증손자인 사괴당 응녕(1518∼1586)이 터를 잡았다고 한..

[문화재답사/예천] 초간정 - 문화재자료 제143호 (예천군)

초간정(草澗亭) / 문화재자료 제143호 (예천군)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 350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대동운부군옥』을 지은 초간 권문해(1534∼1591) 가 세운 것으로 심신을 수양하던 정자이다. 권문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백과사전류인 『대동운부군옥』 20권을 지어 국사 연구에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