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아양동 석불입상 - 향토유적 제15호(안성시)

종 목 : 향토유적 제15호(안성시) 명 칭 : 아양동 석불입상(峨洋洞 石佛立像)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아양동 364 설 명 : 아양동 보살입상옆에 위치한 미륵불로 화강암 1석으로 조각하였으며 수법이 고졸하고 토속화 경향을 지닌 석불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규모는 보살입상보다 작..

아양동 보살입상 - 향토유적 제10호(안성시)

종 목 : 향토유적 제10호(안성시) 명 칭 : 아양동 보살입상(峨洋洞 菩薩立像) 소재지 : 경기도 안성시 아양동 364 설 명 : 아양동 석불입상과 나란히 왼쪽에 서 있는 거대한 보살입상으로 이곳 마을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미륵불로 존숭해 오고 있다.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

[문화재답사/안성] 안성도기동삼층석탑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안성도기동삼층석탑 (安城道基洞三層石塔)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소재지 : 경기 안성시 도기동 184 구 안성 읍내가 내려다보이는 도기동 입구 언덕 위에 건립되어 있다. 단층기단과 기단 중석이 있고 그 위에 평면방형의 3층 탑신을 올린 높이 5.4m의 일반형 석탑이다. 여러 개의 장대..

[문화재답사/광주] 충효동정려비각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충효동정려비각 (忠孝洞旌閭碑閣)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 소재지 : 광주 북구 충효동 440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김덕령(1567∼1596)과 그의 부인 흥양 이씨, 그의 형 김덕홍(1558∼1592), 그의 아우 김덕보(1571∼1596) 등 일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나라에서 마을 ..

[문화재답사/순천] 순천선암사측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순천선암사측간 (順天仙巖寺厠間)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14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선암사의 대변소 건물로 일주문과 범종루를 지나 대각암 가는 길에 있는 해천당 옆에 위치해 있다. 선암사는 백제 성왕 7년(529)에 아도화상이 비로암이라 하였던 것을 통일신..

[문화재답사/순천] 선암사각황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선암사각황전 (仙岩寺覺皇殿)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선암사는 지었을 당시의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고, 고려 선종 6년(1088)에 의천이 다시 지었다고 한다. 각황전의 본래 이름은 장육전으로 통일신라 경문왕 원년(861)에 다시 지었으..

[문화재답사/순천] 선암사마애여래입상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

선암사마애여래입상 (仙岩寺磨崖如來立像)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산48-1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에 위치한 선암사(仙岩寺)에서 대각암(大覺庵)으로 올라가는 중간의 바위면에 새긴 불상으로, 약 7m 높이의 바위면에 옴폭 들어가게 새겼..

[문화재답사/순천] 선암사삼인당 - 전라남도 기념물 제46호

선암사삼인당 (仙岩寺三印塘) / 전라남도 기념물 제46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산48-1 삼인당은 긴 알모양의 연못 안에 섬이 있는 독특한 양식으로 선암사 기록에 의하면 신라 경문왕 2년(862)에 도선국사가 만든 것이라고 한다. 삼인이란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제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