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종 36

[문화재답사/서울]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 - 보물 제11-5호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 - 서울華溪寺銅鍾) 소재지 : 서울 강북구 인수봉로47길 117, 화계사 (수유동)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

[문화재답사/의왕]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 - 보물 제11-7호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 (義王淸溪寺銅鍾) / 보물 제11-7호 소재지 : 경기 의왕시 청계동 산11 청계사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

카테고리 없음 2010.09.30

[문화재답사/영주] 희방사동종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희방사동종 (喜方寺銅鐘)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313-1 소백산 자락에 있는 희방사 대웅보전에 있는 동종으로 원래 조선 영조 18년(1742)에 주조된 충북 단양 대흥사 종으로 승장인 해철과 초부 등이 제작한 중종이다. 종을 거는 고리는 2마..

[문화재답사/부안] 개암사동종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개암사동종(開岩寺銅鐘)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소재지 : 전북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 714 개암사는 백제 무왕 35년(634)에 묘련대사가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공격을 피해 이곳에 성을 쌓을때, 우(禹)장군과 진(陳)의 두..

[문화재답사/평창] 용다사동종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용다사동종 (龍茶寺銅鐘)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3호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월정사성보박물관 이 종은 1787년(정조 11) 화천 용화산 용다사(龍茶寺)에서 처음 주성(鑄成)된 후 1878년(고종 15) 양구 심곡사에 시주되어 오다가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원주 구룡사에..

[문화재답사/완주] 안심사소장동종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안심사소장동종 (安心寺所藏銅鐘)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26 高山 大屯山 安心寺(고산 대둔산 안심사)’라는 명문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이 동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종의 맨 위에는 용뉴와 음통이 명확하게 남아 있으며 특..

[문화재답사/완주] 화암사동종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화암사동종 (花岩寺銅鐘)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 가천리 1078 이 동종은 극락전 안에 있으며 전체 높이 140㎝, 몸체 높이 85㎝, 입 지름 70㎝이다. 종의 맨 윗부분에는 꽃을 세워 도드라지게 장식한 문양이 있다. 어깨에는 간략화된 꽃무늬 띠를 둘렀다.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