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회상도 11

[문화재답사/상주] 파랑새의 전설이 전해오는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278호

[문화재답사/상주] 파랑새의 전설이 전해오는 상주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278호 파랑새의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북장사 영산회괘불탱 영산회괘불탱은 노악산 서쪽 자락에 있는 북장사에 있는 괘불로 괘불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

[문화재답사/세종]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 - 세종 유형문화재 제12호

전의 비암사 영산회 괘불탱화 (全義 碑岩寺 靈山會 掛佛幀畫) / 세종 유형문화재 제12호 소재지 : 세종 전의면 비암사길 137 비암사에 있는 탱화로 석가모니불이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면을 그림으로 나타낸 영산회상도로 탱화의 조성시기와 조성화원 및 봉안 장소를 파악할 ..

[문화재답사/서울] 봉은사 영산회상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7호

봉은사 영산회상도 (奉恩寺 靈山會上圖)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7호 소재지 :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번지 봉은사 봉은사 영산전 삼존불상 뒤에 있는 불화는 1895년 영산전의 불상과 좌우 보처, 나한상 등을 개금할 때 나한도 4폭, 사자도 1폭과 함께 제작된 것으로, 세로 114.8cm, ..

[문화재답사/예천]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445호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醴泉龍門寺靈山會掛佛幀) / 보물 제1445호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 (내지리) 입상의 삼존불상을 배경으로 본존불상 머리 좌우에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를 배치시켜 5존도 형식을 취하였다. 삼존불상 가운데 통견(通肩)의 적색 대의(大衣)..

[문화재답사/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5호

진관사 영산회상도 (津寬寺 靈山會上圖)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45호 소재지 : 서울 은평구 진관외동 1 이 불화는 진관사 나한전 본존불의 후불탱화로 모셔진 영상회상도와 16나한도로서, 석가부처님이 인도 마가다왕국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법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그..

[문화재답사/공주]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公州 麻谷寺 靈山會上圖)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대웅보전 후불탱화로 걸려있는 불화이다.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법..

[문화재답사/홍천] 홍천수타사영산회상도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홍천수타사영산회상도 (洪川壽陀寺靈山會上圖)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소재지 : 강원 홍천군 동면 덕치리9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린 그림을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 걸어두는 불화의 한 종류로, 보통 사찰의 전각 안에 모셔둔 본존상 뒤에 걸어두는 후불화를 이른다. 이 영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