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명부전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쌍계사명부전 (雙磎寺冥府殿)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성덕왕 23년(723)에 삼법이 지었으며, 문성왕 2년(840)에 진감국사가 다시 지었다. 원래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정강왕(재위 886∼887)..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나한전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쌍계사나한전 (雙磎寺羅漢殿)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성덕왕 23년(723)에 삼법이 지었으며, 문성왕 2년(840)에 진감국사가 다시 지었다. 처음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정강왕(재위 886∼887)..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천왕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쌍계사천왕문 (雙磎寺天王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성덕왕 23년(723)에 삼법이 지었으며, 문성왕 2년(840)에 진감국사가 다시 지었다. 원래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정강왕(재위 886∼887)..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금강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쌍계사금강문 (雙磎寺金剛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는 지리산 남쪽 기슭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성덕왕 23년(723)에 삼법이 지었으며, 문성왕 2년(840)에 진감국사가 다시 지었다. 원래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정강왕(재위 886∼887)..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소장불경책판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쌍계사소장불경책판 (雙磎寺所藏佛經冊板)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5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이 불경책판들은 경남 하동군의 쌍계사에 소장된 것으로, 모두 33종 1743판이다. 쌍계사에는 해인사 다음으로 많은 경판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 목판들은 육조 현능..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5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삼장보살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4호 쌍계사삼장보살탱 (雙磎寺三藏菩薩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4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삼장보살탱은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인 쌍계사에 보관되어 있다. 이 탱화는 조선 정조 5년(1781) 5월에 제작되었는데, 금어(金魚) 승윤(勝允), 만휘(萬輝), 홍원(泓源)..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4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팔상전신중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쌍계사팔상전신중탱 (雙磎寺八相殿神衆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은 쌍계사에 보관 중으로 ‘쌍계사 고법당 제석신중탱(雙磎寺 古法堂 帝釋神衆幀)’이라 명명되기도 한다. 이 탱화는 1781년에 제작된 쌍계사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4
[문화재답사/하동] 쌍계사국사암아미타후불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6호 쌍계사국사암아미타후불탱 (雙磎寺國師庵阿彌陀後佛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6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쌍계사 국사암 아미타후불탱은 주색 바탕의 화면에 황색선으로 도상을 묘사한 선묘불화이다. 1781년 제작된 이 탱화는 금어 함식(咸湜)이 그렸다. 화면..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4
[문화재답사/하동] 하동쌍계사사천왕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13호 하동쌍계사사천왕상 (河東雙磎寺四天王像)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13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 쌍계사 천왕문에 안치된 목조 사천왕상 4구는 조선후기 1705년에 제작된 475cm 규모의 대형작품이다. 현재 국내에 존재하는 조선추기부터 17세기에 이르는 사천왕상은..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6.14
[문화재답사/하동] 청학루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호 청학루 (靑鶴樓)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호 소재지 :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내에 있는 누각으로 처음 스님이 되시는 분들의 수도장소로 사용되었다. 1930년에 쌍계사 주지 손민선사가 지었으며, 1985년에 지붕을 한차례 고쳤다. 2층 누각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8.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