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20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쌍교차문칠층석탑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화순운주사쌍교차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雙交叉紋七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70-1 이 석탑은 운주사에서 유일하게 광배를 갖춘 석불좌상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탑 역시 높고 큼직한 1석의 방향기단석 위에 1단의 방형 괴임..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칠층석탑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화순운주사칠층석탑 (和順雲住寺七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및 대초리 일원 이 석탑은 9층석탑(보물 제796호) 다음에 있다. 원래는 논 가운데 있었으나 잔디를 심고 정비하였다. 석괴형 기단상면에는 원형1단 괴임을 만들어 윗 층..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마애여래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화순운주사마애여래좌상 (和順雲住寺磨崖如來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및 대초리 일원 마애불은 현 대웅전에서 북쪽으로 약 40m 떨어져 있는 거대한 바위의 벼랑에 새겨져 있다. 육계는 두툼하게 솟아 있고 희미한 눈썹과 길다란 ..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광배석불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화순운주사광배석불좌상 (和順雲住寺光背石佛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및 대초리 일원 운주사 석불 가운데 유일하게 광배가 있는 불상이다. 사다리꼴 판석의 광배는 두광과 신광의 구분이 없고 불신 주변 전체에 화염문을 음각하..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 (和順雲住寺臥形石造如來佛)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용강리 및 대초리 일대 운주사 계곡의 서편 산 정상에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고 있는 석불 2구로 일명 와불이라 불리고 있다. 좌상의 대불은 어깨의 폭에 비해 무릎의 폭..

[문화재답사/화순] 쌍봉사극락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

쌍봉사극락전 (雙峰寺極樂殿)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쌍봉사는 신라 구산선문(新羅九山禪門) 중의 하나로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개창조인 철감선사가 경문왕 8년(868)에 창건하였다. 깊은 산이 아닌 작은 야산 언덕에 위치한다. 계당산에..

[문화재답사/화순]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보물 제1726호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和順 雙峰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一括) / 보물 제1726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화순 쌍봉사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상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과 「綾州地獅子山雙峰寺諸殿記文輯錄」과 「雙峰寺..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쌍봉사극락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화순쌍봉사극락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和順雙峰寺極樂殿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쌍봉사 극락전에 모셔져 있는 앉은 모습의 아미타여래상이다. 원래는 양 옆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의 협시불과 함께 삼존의 ..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쌍봉사대웅전목조삼존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1호

화순쌍봉사대웅전목조삼존불상 (和順雙峰寺大雄殿木造三尊佛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1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화순 쌍봉사에 모셔져 있는 목조삼존불좌상으로서 앉은 모습의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양옆에 서있는 특이한 형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