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373

[문화재답사/순천] 선암사각황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선암사각황전 (仙岩寺覺皇殿)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선암사는 지었을 당시의 정확한 기록은 알 수 없고, 고려 선종 6년(1088)에 의천이 다시 지었다고 한다. 각황전의 본래 이름은 장육전으로 통일신라 경문왕 원년(861)에 다시 지었으..

[문화재답사/순천] 선암사마애여래입상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

선암사마애여래입상 (仙岩寺磨崖如來立像)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 소재지 :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산48-1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에 위치한 선암사(仙岩寺)에서 대각암(大覺庵)으로 올라가는 중간의 바위면에 새긴 불상으로, 약 7m 높이의 바위면에 옴폭 들어가게 새겼..

[문화재답사/여수] 여수이량장군방왜축제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0호

여수이량장군방왜축제비 (麗水李良將軍防倭築堤碑)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40호 소재지 : 전남 여수시 군자동 472(진남관내) 이양장군방왜축제비는 전라좌수사를 지낸 이양장군이 왜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쌓은 방왜축제(수중성)를 기념하기 위해 후대에 세운 비이다. 이양(1446∼15..

[문화재답사/보성] 보성계산리삼층석탑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보성계산리삼층석탑 (寶城桂山里三層石塔)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소재지 : 전남 보성군 복내면 계산리 590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두고,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의 탑이다. 원래는 기단(基壇)의 일부가 없어지고, 탑신의 3층 몸돌과 지붕돌이 각..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垂直紋七層石塔)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36 운주사 입구를 지나 동쪽 산중턱의 높직한 암반 위에 있는 지대석 등의 별다름 시설없이 암반 위에 방형단을 만들고 그 위에 기단부를 형성하고 탑..

[문화재답사/화순] 화순운주사거북바위오층석탑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화순운주사거북바위오층석탑 (和順雲住寺거북바위五層石塔)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8 이 탑은 거북바위라 불리어지는 큰 암반 위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이탑의 양식은 같은 암반 위에 서 있는 7층 석탑과는 달리 신라 전형양식을 계..

[문화재답사/화순] 쌍봉사극락전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

쌍봉사극락전 (雙峰寺極樂殿)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66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1 쌍봉사는 신라 구산선문(新羅九山禪門) 중의 하나로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개창조인 철감선사가 경문왕 8년(868)에 창건하였다. 깊은 산이 아닌 작은 야산 언덕에 위치한다. 계당산에..

[문화재답사/하남] 하남시상사창동연자마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2호

하남시상사창동연자마 (河南市上司倉洞硏子磨)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2호 소재지 : 경기 하남시 상사창동 346-2 연자마는 연자방아를 가리키는 것으로 연자매·돌매방아라고도 한다. 말이나 소가 방아틀에 연결된 돌을 끌어 돌림으로써 곡물껍데기를 제거하거나 밀을 빻았던 전통적인 ..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대조루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

전등사 대조루 (傳燈寺 對潮樓)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는 아도화상이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에 세운 절로 정족산성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절 입구에 세운 대조루는 기둥을 세워 지면과 사이를 두고 지은 누각이다. 지은 시기를 알 ..

[문화재답사/안성] 죽산향교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6호

죽산향교 (竹山鄕校)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6호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314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죽산향교는 조선 중종 28년(1533)에 처음 지었으나, 그 이후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최근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