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민속문화재 43

[문화재답사/익산] 김안균가옥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3호

김안균가옥 (金晏均家屋)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3호 소재지 : 전북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457 이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 및 행랑채 등으로 구성(構成)되었는데 상량문(上樑文)의 기록(記錄)으로 보아 안채와 사랑채는 1922년에, 동·서 행랑채는 1930년대에 건립(建立)된 것으로 추..

[문화재답사/괴산] 괴산 문당리 서낭단 -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3호

괴산 문당리 서낭단 (槐山 文塘里 서낭壇) /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3호 소재지 : 충북 괴산군 청안면 문당리 산96 성황단은 토지와 마을을 수호하는 신인 서낭신에게 제사하기 위한 제단으로, ‘서낭단’이라고도 한다. 주로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에 작은 돌을 무더기로 쌓아놓고 가까이..

[문화재답사/공주] 세조대왕연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

세조대왕연 (世祖大王輦)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567 연(輦)은 임금이 거동할 때 타는 가마를 일컫는 것으로, 이 가마는 조선 세조가 마곡사에 올 때 타고 온 것이다. 4명이 들 수 있도록 한 긴 멜대 위에 화려한 조각으로 장식된 사각형의 ..

[문화재답사/경주] 양동대성헌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양동대성헌 (良洞對聖軒)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4호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183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집으로 18세기 중엽에 지었으며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ㄱ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행랑채가 모여 있어서 전체적으로 ㅁ자를 이루고 있다...

[문화재답사/함양] 벽송사목장승 -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

벽송사목장승 (碧松寺木長丞) /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2호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벽송사입구 벽송사로 들어가는 길가의 양쪽에 마주보고 서 있는 한 쌍의 목장승이다. 잡귀의 출입을 금하는 기능과 함께 불법을 지키는 신장상(神將像)으로서의 구실을 하였던 것으..

[문화재답사/안동] 안동주하동경류정종택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2호

안동주하동경류정종택 (安東周下洞慶流亭宗宅)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2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와룡면 주하리 634 진성 이씨의 큰 종가집으로 고려말의 문신 송안군 이자수가 지었다고 전하나 건립연대는 알 수 없다. 별당인 경류정은 조선 성종 23년(1492)에 이연이 지었다고 한다. ‘..

[문화재답사/안동] 봉정사영산암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6호

봉정사영산암 (鳳停寺靈山庵)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6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2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황새를 만들어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앉은 자리..

[문화재답사/상주] 석장승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

석장승 (石長丞(南長寺))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3호 소재지 : 경북 상주시 남장동 산63-6 장승은 마을입구나 사찰입구에 세워 잡귀와 액운의 출입을 막고 사찰내의 재산과 경계를 표시하는 민간신앙물로, 마을에서는 수호신의 기능을 겸하기도 한다. 남장사 입구에 서 있는 이 ..

[문화재답사/전주] 예종대왕태실및비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

예종대왕태실및비 (睿宗大王胎室및碑) /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26호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3가 102 태실(胎室)은 왕이나 왕실의 자손이 태어났을 때 그 탯줄을 모셔두는 곳을 이르는 것으로, 그 형태는 승려의 사리탑과 비슷하다. 경기전 경내에 자리하고 있는 이 태..

[문화재답사/창녕] 관룡사석장승 -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관룡사석장승 (觀龍寺石長丞) /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소재지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관룡사로 가는 오솔길 양쪽에 서 있는 한 쌍의 돌장승이다. 사찰 입구에 두는 장승은 절의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과 더불어 잡귀의 출입을 막고, 풍수지리적으로 허한 곳의 기운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