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남양주] 수종사오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수종사오층석탑 (水鐘寺五層石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1060 수종사에 서 있는 8각 5층 석탑이다. 탑은 여러 단을 쌓아 기단(基壇)을 삼고 그 위에 5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특이하게도..

[문화재답사/보은] 보은 속리산사실기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보은 속리산사실기비 (報恩 俗離山事實記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법주사 수정교 앞에 놓여 있는 비이다. 조선 현종 7년(1666)에 세운 것으로, 비문은 당시 명망이 높았던 우암 송시열이 짓고, 동춘당 송준길이 글씨를 썼다. 비문의 내용..

[문화재답사/보은]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報恩 法住寺 碧巖大師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법주사의 절 한켠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벽암대사의 행적을 적고 있다. 벽암대사는 조선 중기의 승려로, 법명은 각성이며, 벽암은 그의 호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

[문화재답사/보은] 보은 법주사 자정국존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

보은 법주사 자정국존비 (報恩 法住寺 慈淨國尊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 속리산 법주사 내에 있는 자정국존의 비이다. 자정국존(1240∼1327)은 국령사·장의사·법주사 등 여러 사찰의 주지를 지냈으며, 도승통이 되기도 하였고, 호는 ‘..

[문화재답사/보은] 보은 서원리 소나무 - 천연기념물 제352호

보은 서원리 소나무 (報恩 書院里 소나무) / 천연기념물 제352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49-4외 1필 보은 서원리의 소나무는 속리산 남쪽의 서원리와 삼가천을 옆에 끼고 뻗은 도로 옆에 있으며, 나이는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15.2m, 뿌리 근처의 둘레 5.0m, 줄기는 ..

[문화재답사/상주]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119호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 (尙州 伏龍洞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119호 소재지 : 경북 상주시 서성동 163-48 경상북도 상주군 상주읍 복용리에 있는 석불좌상으로 광배(光背)와 대좌(臺座)가 없고, 군데군데 돌이 깨져 불완전한 모습이다. 콧날이 약간 손상된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데,..

[문화재답사/상주] 상주 복용동 당간지주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호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尙州 伏龍洞 幢竿支柱)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호 소재지 : 경북 상주시 복용동 207-2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해 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경우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매달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

[문화재답사/상주] 전사벌왕릉 - 경상북도 기념물 제25호

전사벌왕릉 (傳沙伐王陵) / 경상북도 기념물 제25호 소재지 : 경북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산44-1외 3필 사벌국은 경상북도 상주지방에 위치하였던 삼한 소국 중의 하나로, 일명 사량벌국이라고도 한다.『삼국사기』에 의하면 이 나라는 본래 신라에 속하여 있었으나 점해왕 때 갑자..

[문화재답사/영월] 주천삼층석탑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주천삼층석탑 (酒泉三層石塔)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소재지 : 강원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 1125-4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흥령사라는 절을 처음 지을 때 이 절을 안내하기 위해 세운 3기의 탑 중 하나로 전하고 있다. 기단은 일부 떨어져 나갔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