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강화] 분오리돈대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6호

분오리돈대 (分五里墩臺)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6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산185-1외 4필지 돈대란 적의 움직임을 살피거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하여 영토 내 접경지역 또는 해안지역의 감시가 쉬운 곳에 마련해두는 초소이다. 대개 높은 평지에 쌓아두는데, 밖은 성곽..

[문화재답사/충주] 충주신흥사석조나한상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

충주신흥사석조나한상 (忠州新興寺石造羅漢像)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50호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신만리 산3-6 조선시대로 추정되는 신흥사석조나한상들은 특이하게 머리에 두건을 쓴 모습들이 일반적인 나한상과 구분되는 독특한 양식이며 상반신부터 하반신까지 이..

[문화재답사/충주] 충주추평리삼층석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충주추평리삼층석탑 (忠州楸坪里三層石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추평리 576-6 추평리(楸坪里) 탑평(塔坪) 마을에 위치하며 탑 주변의 경작지와 인근 민가일대까지 주초석과 많은 기와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추평리사지의 암자로 추정되는 뒤..

[문화재답사/충주] 충주 경종 태실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호

충주 경종 태실 (忠州 景宗 胎室)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호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산34-1 태실(胎室)은 왕실에 왕자나 공주가 태어났을 때 그 태를 모시는 곳으로, 이곳은 조선 경종대왕(1720~1724)의 태를 모시고 있었다. 대개는 태항아리 안에만 두는 것이 보통이나, 왕세자..

[문화재답사/부여] 박물관석조여래입상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6호

박물관석조여래입상 (博物館石造如來立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6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7-12 1933년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산의 천왕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옮겨져 있는 불상이다. 몸체에 비하여 머리가 크며 어깨와 하체가 거의 일직..

[문화재답사/부여] 동사리석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동사리석탑 (東寺里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37-13 국립부여박물관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탑이 있었던 원래의 터에는 비석을 세워 그 자리를 밝혀두었다. 형태는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위로 5층에 ..

[문화재답사/부여] 동남리석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동남리석탑 (東南里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37-11 국립부여박물관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석목리 논절부락의 고려시대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주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마련하고, 그 ..

[문화재답사/부여]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 보물 제330호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扶餘 軍守里 金銅菩薩立像) / 보물 제330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국립부여박물관) 1936년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금동보살이다. 머리에는 화려하게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고, 얼굴 좌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