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부여] 부여 홍산현 관아 - 사적 제481호 부여 홍산현 관아 (扶餘 鴻山縣 官衙) / 사적 제481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동헌로 38, 일원 (남촌리) 홍산현 관아와 관련된 중요 기록은 여지도서(1757~1765), 홍산읍지(영조이후), 호서읍지(1892~1895), 서울대 규장각 소장 홍산현지도를 들 수 있음. 조선시대 옛 고을의 핵심시설인 객사..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홍산객사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홍산객사 (鴻山客舍)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7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211-2 조선 헌종 2년(1836) 홍산군에 세운 객사 건물이다. 객사는 국왕의 전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를 올리는 한편 왕명을 받들고 내려오는 중앙관리를 접대하고 유숙시키던 곳이다. 중앙..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1.27
부여 목은선생영당 고려말 삼은(三隱) 가운데 한 분인 목은 이색(李穡)의 영정(影幀)을 모신 영당(影堂)으로 부여군 홍산면의 조선시대의 관아였던 동헌의 좌측 담장을 같이 쓰고 있습니다. 출입문이 굳게 닫혀 있어 들어 갈 수 없었답니다. 이색 (李穡 1328∼1396(충숙왕 15∼태조 5)) 고려 말 문신·학자. 자는 영숙(穎叔), 호.. ☞ 들꽃의 문화재답사/기타(문화재)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홍산동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홍산동헌 (鴻山東軒)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187 동헌은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의 수령이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 공적일 일을 하던 곳이다. 흥선대원군은 정권을 잡은 후 관청의 위엄을 세우기 위하여 전국에 걸쳐 관청건물을 정비..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홍산형방청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홍산형방청 (鴻山刑房廳)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남촌리 183-1 이 건물은 조선시대(朝鮮時代) 홍산현(鴻山縣)의 관아(官衙) 건물 중의 하나인 형방청(刑房廳)이다. 고종(高宗) 8년(1871)에 개건(改建)한 민가풍(民家風)의 목조건물로, 당시의 현액명은 비홍..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청일사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청일사 (淸逸祠)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홍산면 교원리 190 김시습(1435∼1493)과 김효종(1414∼1493)의 뜻을 기리기 위해 조선 광해군 13년(1621)에 세운 사당이다. 김시습은 조선 전기 학자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지은 인물이다. 지금 있는..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20호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扶餘 珠岩里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20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외 4필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 들꽃의 문화재답사/천연기념물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화성리오층석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9호 화성리오층석탑 (花城里五層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9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 601 화암사라는 작은 암자의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옛 절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암자를 지을 때 함께 복원해 놓은 이 탑은 많은 부분들이 없어져 원래의 모습을 잃어가고..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부여무량사명부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9호 부여무량사명부전 (扶餘無量寺冥府殿)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9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부여 무량사 명부전은 극락전 전면의 동편에 있는 건물로서 지장보살을 모시고 명부의 시왕상(十王像)을 모셨으며 일명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부른다. 건물기단은 자연석을 ..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8.01.26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김시습부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무량사김시습부도 (無量寺金時習浮屠)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125-1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김시습은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