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당진]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 보물 제987호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唐津 申庵寺 金銅如來坐像) / 보물 제987호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송악읍 가교길 144-9, 신암사 (가교리) 신암사에 모셔져 있는 고려시대 금동불좌상이다. 신암사는 고려 충숙왕 때 능성 구씨의 4대손인 구예가 가교리에 터를 잡으면서 지었다고 전해진다. 전체적..

[문화재답사/수원] 팔달문동종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팔달문동종 (八達門銅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영통구 창룡문길 443 수원박물관 팔달문 2층 누각에 걸려있는 높이 123㎝, 입 지름 75㎝ 크기의 동종이다. 종을 매다는 용뉴에 1마리 용을 조각하였고, 그 아래 약간 오무라든 종의 몸체를 연결하였다. 전체적인 비..

[문화재답사/수원] 봉령사 석조삼존불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봉녕사 석조삼존불 (奉寧寺 石造三尊佛)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봉령사 대웅전 뒤편 언덕에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다가 출토된 삼존불(三尊佛)이다. 삼존불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모래가 많..

[문화재답사/수원]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奉寧寺 佛畵(神衆幀畵.現王幀畵))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종류이다. 봉령사 약사전 안에는 2폭의 탱화가 안치되어 ..

[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마애삼존불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삼막사마애삼존불 (三幕寺磨崖三尊佛)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10-1 이 마애불은 자연암벽에 감실(龕室)을 만들고, 거기에 부조(浮彫)한 치성광삼존불(熾盛光三尊佛)로 조선후기(朝鮮後期)를 대표할 만한 걸작이며, 석굴사원 (石窟寺院) 유..

[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삼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삼막사삼층석탑 (三幕寺三層石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41-54 삼막사 선실 뒤편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삼막사라는 절 이름에는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원효·의상·윤필 3대사가 관악산에 들어와 장막을 치고 수도하다가 그 뒤 그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