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강릉] 보현사대웅전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7호

보현사대웅전 (普賢寺大雄殿)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7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544 보현사는 신라 진덕여왕 4년(650)에 자장율사가 세운 절이다. 후에 낭원대사가 고쳐 세웠고 ‘지장선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세운 건물로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

[문화재답사/서울]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 등록문화재 제90호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서울 紅把洞 洪蘭坡 家屋) / 등록문화재 제90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송월1길 38, , 2-46 (홍파동) 홍파동 홍난파 가옥은 지하 1층 지상 1층의 붉은 벽돌조 건물로 독일계통 선교사의 주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근처 송월동에 독일 영사관이 있었기 때문에 이 일대..

[문화재답사/삼척] 삼척영은사팔상전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삼척영은사팔상전 (三陟靈隱寺八相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7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924 영은사는 통일신라말에 범일조사가 지은 절이다. 절에 남아있는 기록에 의하면 팔상전은 조선 인조 19년(1641)에 지었다고 하는데, 건축양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의 모습을 보이고 ..

[문화재답사/강릉] 명주군왕릉 - 강원도 기념물 제12호

명주군왕릉 (溟州郡王陵) / 강원도 기념물 제12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산285 신라하대의 진골 귀족으로 강릉 김씨의 시조인 김주원의 묘소이다. 그가 명주군왕으로 봉해졌기에 왕릉이라고 부른다. 태종무열왕의 둘째아들인 김인문의 5세손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 의..

[문화재답사/삼척] 삼척영은사대웅보전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6호

삼척영은사대웅보전 (三陟靈隱寺大雄寶殿)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6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924 영은사는 통일신라 진성여왕 6년(892)에 범일조사가 처음 지은 절로, 이때에는 운망사라 하였다. 조선 선조 18년(1585)에 사명대사가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지으면서 영은사라..

[문화재답사/강릉] 경포 - 강원도 기념물 제2호

경포 (鏡浦) / 강원도 기념물 제2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운정동984 일원 관동지방의 경치 좋기로 이름난 곳인 경포호는 경포대를 중심으로 호수 주변의 많은 누정과 경포 해수욕장 및 주변의 소나무숲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이다. 물이 거울같이 맑아 경포호라고 하며, 사람에게 유익함..

[문화재답사/동해] 북평해암정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

북평해암정 (北坪海岩亭)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 소재지 : 강원 동해시 추암동474-5 삼척 심씨의 시조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내려와 제자를 가르치며 생활할 때 지은 정자로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처음 짓고, 조선 중종 25년(1530)에 심언광이 다시 지었다. 심동로는 어려서부터 글을 ..

[문화재답사/삼척] 교가리느티나무 - 강원도 기념물 제14호

교가리느티나무 (交柯里느티나무) / 강원도 기념물 제14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 650-15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

[문화재답사/강릉] 강릉 선교장 - 국가민속문화재 제5호

강릉 선교장 (江陵 船橋莊) / 국가민속문화재 제5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운정길 63 (운정동) 조선시대 사대부의 살림집이다. 전주사람인 이내번이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지은 집으로, ‘선교장(船橋莊)’이라는 이름도 '집터가 뱃머리를 연상케 한다'고 하여 붙였다고 한다. 안채·사랑채..

[문화재답사/삼척] 삼척공양왕릉 - 강원도 기념물 제71호

삼척공양왕릉 (三陟恭讓王陵) / 강원도 기념물 제71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178 고려 왕조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재위 1389∼1392)의 묘로 전하는 곳이다. 공양왕은 1392년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면서 폐위되었고, 태조 3년(1394)에 왕자 석(奭), 우(瑀)와 함께 삼척으로 간 뒤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