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서울] 환구단 - 사적 제157호 환구단 (圜丘壇) / 사적 제157호 소재지 : 서울 중구 소공동 87-1 환구단(圜丘壇)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제천행사는 농경문화의 형성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부터는 국가적인 제천의례로 시행된 것으로 믿어진다. 고려 성종 2년(983) 정월에 처음 ..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12.10.13
[문화재답사/삼척] 삼척 궁촌리 음나무 - 천연기념물 제363호 삼척 궁촌리 음나무 (三陟 宮村里 음나무) / 천연기념물 제363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452 음나무는 보통 엄나무라고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만주·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연한 잎은 나물로 먹고 가시가 있는 가지는 악귀를 물리치는데 사용하였다. 옛날.. ☞ 들꽃의 문화재답사/천연기념물 2012.10.12
[문화재답사/서울] 서울 관상감 관천대 - 보물 제1740호 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觀象監 觀天臺) / 보물 제1740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원서동 206 조선시대 기상대나 천문대인 관상감이 있던 자리에 설치한 것으로, 흔히 소간의대(小簡儀臺)나 ‘별을 관측하는 대’ 라는 뜻에서 첨성대(瞻星臺)라고 불렀다. 세종 16년(1434)에 설치된 서운관의 관..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12.10.12
[문화재답사/강릉]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 천연기념물 제437호 강릉 정동진 해안단구 (江陵 正東津 海岸段丘) / 천연기념물 제437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50-60 외 정동진 해안단구는 제3기말에 일어난 지반융기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며 단구층은 200∼250만년 전에 형성되었다. 해안단구가 해수면과 접하는 곳에 경사가 .. ☞ 들꽃의 문화재답사/천연기념물 2012.10.11
[문화재답사/서울] 창덕궁 돈화문 - 보물 제383호 창덕궁 돈화문 (昌德宮 敦化門) / 보물 제383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창덕궁 (와룡동)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이다 ‘돈화(敦化)’라는 말은 원래 중용에서 인용한 것으로 ‘공자의 덕을 크게는 임금의 덕에 비유할 수 있다’는 표현으로 여기에서는 의미가 확장되어 ‘임금이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12.10.11
[문화재답사/서울] 인왕산 수성동 계곡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 인왕산 수성동 계곡 (仁王山 水聲洞 溪谷)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옥인동 179-1외 8필지 예전에 옥인동의 옥인아파트가 있던 자리로 지금은 모두 헐어져 버린곳으로 이 일대는 조선시대 수성동(水聲洞)으로 불리던 지역이다. 조선시대 역사지리서인 <동국여지..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기념물 2012.10.11
[문화재답사/서울] 서울 경교장 - 사적 제465호 서울 경교장 (서울 京橋莊) / 사적 제465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평동 108-1 경교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이었던 백범 김구선생이 1945년 중국에서 돌아온 이후 1949년 6월 26일 암살당할 때까지 집무실과 숙소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1938년에 건립된 이 건물의 명칭은 당초 죽첨장(竹添莊..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12.10.10
[문화재답사/삼척] 삼척 두타산 이승휴 유적 - 사적 제421호 삼척 두타산 이승휴 유적 (三陟 頭陀山 李承休 遺蹟) / 사적 제421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미로면 동안로 816, 외 (내미로리) 이승휴 유적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두타산의 천은사 일대에 위치하며, 고려 충렬왕 13년(1287)때 문인이며 정치가인 동안거사(動安居士) 이승휴(李承休) 선생이 우리 ..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12.10.09
[문화재답사/서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고 생활관 - 등록문화재 제93호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고 생활관 (서울 培花女子高等學校 生活館) / 등록문화재 제93호 소재지 : 서울 종로구 필운동 12-3번지 외1 배화학당은 기독교 선교와 여성 계몽을 위하여 1898년에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학교다. 배화여고 생활관은 학교가 지금의 자리로 이전해 온 1916년 선교사를 .. ☞ 들꽃의 문화재답사/등록문화재 2012.10.09
[문화재답사/삼척] 삼척천은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7호 삼척천은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三陟 天恩寺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47호 소재지 : 강원 삼척시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 삼척 천은사 경내의 주불전인 극락보전에 봉안된 본존불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고 있는 불상이다...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12.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