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문화재 18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봉암사 극락전 - 보물 제1574호

문경 봉암사 극락전 (聞慶 鳳巖寺 極樂殿) / 보물 제1574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원북리) 문경 봉암사 극락전은 신라 경순왕이 피난시 원당으로 사용한 유서 깊은 건물로 전하고, 현재 극락전 내부에는 어필각(御筆閣)이란 편액(扁額)이 걸려 있으며, 일제강점기 때 옥개..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보물 제137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 / 보물 제137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지증대사의 사리를 모신 부도로 봉암사 대웅전 왼쪽에 서 있다. 지증대사(824∼882)는 이 절을 창건한 승려로, 17세에 승려가 되어 헌강왕 7년(881)에 왕사로 임명되었..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국보 제315호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 국보 제315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문경 봉암사 경내에 있는 석비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창자인 도헌국사(道憲國師) 곧 지증대사(智證大師)의 탑비로서, 비석..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 보물 제1748호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聞慶 鳳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 보물 제1748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봉암사) 봉암사 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51.5㎝로 비교적 크기가 작은 편인데,복장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1586년(선조 19)에 나운(..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봉암사 일주문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91호

문경 봉암사 일주문 (聞慶 鳳巖寺 一柱門)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91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627 (봉암사) 봉암사는 지금부터 약 1100여년전 신라 헌강왕 5년에 _지증국사께서 창건한 고찰로서 선종산문인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으로 그 사격이 매우 당당하다. 당시 ..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 보물 제140호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聞慶 金龍 寺 靈山會掛佛圖) / 보물 제1640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372, 김용사 (김용리) 문경시 산북면에 있는 김용사에 있는 영산회괘불도로 1703년에 수원(守源)을 비롯한 6명의 화원이 제작한 것으로, 오른손을 내리고 서있는 석가모니와 그를 ..

[문화재답사/문경]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김용사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 및 제상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85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410 김용사는 운달조사가 신라 진평왕 10년(588)에 세웠다고 전하나, 사적기에 따르면 초창의 기록은 보이지 않고 적산부 북쪽 백리정도 떨어진 운달산 아래에 사찰이 있었다고 하며..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김용사 대웅전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3호

문경 김용사 대웅전 (聞慶 金龍寺 大雄殿)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3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410 김용사는 운달조사가 신라 진평왕 10년(588)에 세웠다고 전하나, 사적기에 따르면 초창의 기록은 보이지 않고 적산부 북쪽 백리정도 떨어진 운달산 아래에 사찰이 있었다고 ..

[절집여행] 시방세계의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 사불산 대승사

[절집여행] 시방세계의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 사불산 대승사 사불산 대승사 사불산 대승사는 산 이름 자체가 시방세계의 부처님이 머무시는 곳으로 사불산 최고봉인 공덕봉은 불교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공덕봉 산자락에 위치한 대승사를 찾아간다. 영남대로의 옛길 진남교반의 토끼비..

[문화재답사/문경]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보물 제1634호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聞慶 大乘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 及 腹藏遺物) / 보물 제1634호 소재지 :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길 283, 대승사 (전두리) 대승사의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극락전 주불로 모시고 있는데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과학적 조사(성분분석, X-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