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안동] 안동 봉정사 대웅전 - 국보 제311호 안동 봉정사 대웅전 (安東 鳳停寺 大雄殿) / 국보 제311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 봉정사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도력으로 만들어 부석사에서 날린 종이 봉황이 이곳에 내려 앉아 봉정사라 불..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10.16
[문화재답사/안동]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 보물 제448호 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安東 鳳停寺 華嚴講堂) / 보물 제448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황새를 만들어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10.16
[문화재답사/안동] 안동 봉정사 고금당 - 보물 제449호 안동 봉정사 고금당 (安東 鳳停寺 古今堂) / 보물 제449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만든 봉황새를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앉은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10.16
[문화재답사/안동] 봉정사소장유물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8호 봉정사소장유물 (鳳停寺所藏遺物)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8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소장 유물 중 책판, 탱화, 고승진영이 지정되었다.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가 세운 절이라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10.16
[문화재답사/안동] 봉정사영산암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6호 봉정사영산암 (鳳停寺靈山庵)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6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2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의상대사가 지었다고 한다. 부석사를 세운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봉황새를 만들어 날려 보냈는데, 그 새가 내려앉은 자리..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민속문화재 2008.10.16
[문화재답사/안동] 봉정사동종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4호 봉정사동종 (鳳停寺銅鍾)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4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조선 순조 13년(1813)에 만들어진 것으로 크기는 높이 67㎝, 음통 높이 22㎝, 종입구 지름 55㎝이다. 종은 전체적으로 어깨 부분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다가 중간 부분부터 종 입구..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8.10.16
안동의 개목사 개목사의 원래 이름은 흥국사로 통일신라 신문왕(재위 681∼692) 때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절 뒤에 있는 천등굴에서 천녀(天女)의 기적으로 도를 깨치고 절을 세웠다고 하는데 ‘개목사’라는 절 이름은 조선시대에 바꾼 이름이라고 전한다. 그런데 옛날 안동지방(安東.. ♣들꽃의 길,맛,멋따라♣/절집 여행 2008.10.14
[문화재답사/안동] 안동 개목사 원통전 - 보물 제242호 안동 개목사 원통전 (安東 開目寺 圓通殿) / 보물 제242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개목사길 362, 개목사 (태장리) 개목사의 원래 이름은 흥국사로 통일신라 신문왕(재위 681∼692) 때 의상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절 뒤에 있는 천등굴에서 천녀(天女)의 기적으로..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