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화 63

[문화재답사/평창] 운수암관음변상탱화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운수암관음변상탱화 (雲水庵觀音變湘幀畵)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63-1 월정사성보박물관 이 그림은 검은 색의 비단(絹) 위에 금니(金泥)를 이용해 그린 것이다. 그림 좌측의 하단에 있는 화기(畵記)에 의하면 1790年(정조 14)에 화원(畵員) 신..

[문화재답사/공주] 갑사팔상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갑사팔상전 (甲寺八相殿)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4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4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 원년(420)에 아도화상이 처음 지었고, 통일신라 문무왕 19년(679)에 의상이 고쳐 지었다고 한다. 그 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고치고 넓혀 지..

[문화재답사/화성]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호

용주사대웅전후불탱화 (龍珠寺大雄殿後佛幀畵)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호 소재지 : 경기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188(용주사) 탱화란 불경에 관한 그림을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절 내의 대웅전에 모시는 본존의 뒷벽에 자리한..

[문화재답사/홍성] 용봉사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262호

용봉사영산회괘불탱 (龍鳳寺靈山會掛佛幀) / 보물 제1262호 소재지 : 충남 홍성군 홍북면 신경리 산80 용봉사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영산회괘불탱으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화면 중앙..

[문화재답사/공주] 마곡사석가모니불괘불탱 - 보물 제1260호

마곡사석가모니불괘불탱 (麻谷寺釋迦牟尼佛掛佛幀) / 보물 제1260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마곡사 (운암리)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열 때 사용하던 대형 불화를 말하며, 이 괘불은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그린 것이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