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화 63

[문화재답사/수원]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奉寧寺 佛畵(神衆幀畵.現王幀畵))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종류이다. 봉령사 약사전 안에는 2폭의 탱화가 안치되어 ..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傳燈寺 講說堂 阿彌陀佛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강설당에 보존되어 있는 아미타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1918년에 제작된 그림으..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傳燈寺 大雄寶殿 後佛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의 후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傳燈寺 藥師殿 後佛幀)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약사전(보물 제179호)에 보존되어 있는 후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조선 고종 21년(1884)에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