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서산] 개심사영산회괘불탱 - 보물 제1264호 개심사영산회괘불탱 (開心寺靈山會掛佛幀) / 보물 제1264호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로 321-86, 개심사 (신창리) 석가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그린 영산회괘불탱으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05.17
[문화재답사/수원]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奉寧寺 佛畵(神衆幀畵.現王幀畵))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종류이다. 봉령사 약사전 안에는 2폭의 탱화가 안치되어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2.02
[문화재답사/안성] 청룡사감로탱 - 보물 제1302호 청룡사감로탱 (靑龍寺甘露幀) / 보물 제1302호 소재지 :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28 청룡사 감로탱은 조상의 극락왕생을 빌기 위해 그린 불교그림이다. 이 그림은 가로 200㎝ 세로 237.5㎝ 크기이며 3단으로 화면구성을 하고 있다. 그림의 맨 윗부분에는 가운데 아미타삼존을 포함한 7여래와..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09.08
[문화재답사/여수] 흥국사노사나불괘불탱 - 보물 제1331호 흥국사노사나불괘불탱 (興國寺盧舍那佛掛佛幀) / 보물 제1331호 소재지 : 전남 여수시 중흥동 산 17 흥국사 본존불만을 전체 화면에 꽉 차도록 그린 단독불화 형식의 괘불인데,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진행할 때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해 만든 대형 불교..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08.24
[문화재답사/여수] 흥국사대웅전후불탱 - 보물 제578호 흥국사대웅전후불탱 (興國寺大雄殿後佛幀) / 보물 제578호 소재지 : 전남 여수시 중흥동 산 17 흥국사 석가가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탱화로,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렸으며 크기는 가로 4.27m, 세로 5.07m이다. 탱화는 천, 종이에 그린 그림을 족자나..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08.24
[문화재답사/고흥] 금탑사괘불탱 - 보물 제1344호 금탑사괘불탱 (金塔寺掛佛幀) / 보물 제1344호 소재지 : 전남 고흥군 포두면 금탑로 842 (봉림리) 옆으로 긴 폭에 삼세불과 주요 협시보살을 그린 독특한 화면구성을 이루고 있는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08.13
[문화재답사/화순] 만연사괘불탱 - 보물 제1345호 만연사괘불탱 (萬淵寺掛佛幀) / 보물 제1345호 소재지 : 전남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367 (동구리) 중앙에 석가불과 좌우에 문수·보현보살을 배치한 석가삼존불 형식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08.07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傳燈寺 講說堂 阿彌陀佛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강설당에 보존되어 있는 아미타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1918년에 제작된 그림으..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07.17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전등사 대웅보전 후불탱 (傳燈寺 大雄寶殿 後佛幀) / 인천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삼존불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호)의 후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07.17
[문화재답사/강화]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전등사 약사전 후불탱 (傳燈寺 藥師殿 後佛幀)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소재지 : 인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 전등사 약사전(보물 제179호)에 보존되어 있는 후불탱인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지는 불화를 말한다. 조선 고종 21년(1884)에 제..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