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풀 (1번째 이야기)
2005.09.24 -고창 선운산에서
분류 :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다른이름 : 노관초,현초(玄草), 노학초(老鶴草) , 서장초(鼠掌草), 광지풀, 공등, 관근
유래 :
- 이질풀 : 이질·설사·복통 등에 효과가 좋다고 하여
- 서장초 : 잎의 모양이 쥐의 손과 비슷하다고 해서
꽃말 : 귀감
설명 :
- 자생지 : 산과 들에서 자란다.
- 분포지 : 황해도, 강원도 이남, 일본, 만주, 타이완, 아무르 지방에도 분포
- 줄기 : 높이 약 30~50cm이다.
뿌리는 곧은 뿌리가 없고 여러 개로 갈라지며,
가지를 많이 치며 옆으로 비스듬히 기면서 자람. 전체적으로 작은 털이 촘촘히 나 있음.
- 잎 : 마주나기이며, 3∼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손바닥모양으로 길이 3∼7cm이고,
양면에 검은색 무늬가 있고, 뒷면 잎맥에는 곱슬곱슬한 털이 나 있으며
갈래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끝이 둔하고 얕게 3개로 갈라지며 윗부분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마주나며 길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턱잎은 서로 떨어져 있다.
- 꽃 : 6∼9월에 연한 붉은색, 붉은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지름 1∼1.5cm이다.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오고 꽃줄기에서 2개의 작은꽃줄기가 갈라져서 각각 1개씩 달린다.
작은꽃줄기와 꽃받침에 짧은 털과 선모(腺毛)가 나고, 씨방에 털이 난다.
꽃잎에 세로맥이 있음.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장이다
- 열매 : 삭과(殼果)로서 길이 1∼1.2cm이고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린다.
- 민간 : 대장 카타르·이질·위궤양·십이지장궤양 등에 약재로 사용하고, 종기와 피부병 등에 외용한
다.
- 한방 : 꽃이 필 무렵 풀 전체를 채취해서 말린 것을 현초(玄草)라고 하며 탄닌(tannin)·푸로신
(furosin) 등이 들어 있다. 지사제, 정장제, 항진균성 효능이 있어 위장복통, 변비, 종기, 감기,
피부병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징 : 햇볕이 잘 드는 노지에서 월동 가능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잡초처럼 풀밭이나 평지의 길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씨뿌리기와 포기나누기로 번식한다.
일반적으로 약용하나 정원에 심어 관상용으로도 이용한다.
이질풀을 달여 마시면 어떠한 설사병도 말끔히 낫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이를 5대 민간 영약으로 부른다.
유사종종류 : 쥐손이풀, 둥근이질풀, 선이질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