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마애삼존불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삼막사마애삼존불 (三幕寺磨崖三尊佛)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10-1 이 마애불은 자연암벽에 감실(龕室)을 만들고, 거기에 부조(浮彫)한 치성광삼존불(熾盛光三尊佛)로 조선후기(朝鮮後期)를 대표할 만한 걸작이며, 석굴사원 (石窟寺院) 유..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1.25
[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삼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삼막사삼층석탑 (三幕寺三層石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41-54 삼막사 선실 뒤편에 서 있는 3층 석탑이다. 삼막사라는 절 이름에는 통일신라 문무왕 17년(677) 원효·의상·윤필 3대사가 관악산에 들어와 장막을 치고 수도하다가 그 뒤 그곳..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1.24
[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명부전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0호 삼막사명부전 (三幕寺冥府殿)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0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241-54 이 건물은 조선(朝鮮) 고종(高宗) 17년(1880) 건립 되었고 1975년 중수(重修)되었다. 기둥위에 결구(結構)된 공포(拱砲)는 장식적(裝飾的)인 요소(要素)가 가미(加味) 되는 조선조 말기..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7.11.24
[문화재답사/안양] 삼막사남녀근석 -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3호 삼막사남녀근석 (三幕寺男女根石) /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3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10-1 이 돌은 삼막사(三幕寺) 칠성각(七星閣) 옆에 있는 자연 형태의 남근석(男根石)과 여근석(女根石)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 돌에다 정성을 들인다. 속전(俗傳)에는 신라(新羅) 문..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민속문화재 2007.11.24
[문화재답사/안양] 안양중초사지삼층석탑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안양중초사지삼층석탑 (安養中初寺址三層石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12-1 중초사터에 남아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는 아니고 1960년 옛 터에 공장이 들어서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이다. 탑은 전체의 무게를 받치는 기단(基壇)..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1.05
[문화재답사/안양] 석수동마애종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 석수동마애종 (石水洞磨崖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1동 산32 이 마애종은 거대한 바위에 종이 묘사되어 있으며 스님이 종을 치고 있는 우리나라 유일의 마애종이다. 사각형의 결구(結構)형식에 쇠사슬로 연결된 종은 음통(音筒)을 갖춘 비교..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1.05
[문화재답사/안양]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 보물 제4호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 / 보물 제4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11.05
경기도 / 안양시 ★ 마우스를 원하는 곳에 대고 손바닥을 클릭하시면 링크된 곳으로 이동합니다. 보물 제4호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호 만안교 (萬安橋)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 석수동마애종 (石水洞磨崖鐘)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 삼막사마애삼존.. ★들꽃이 머물렀던 곳/경기도지역 2007.11.05
[문화재답사/안양] 만안교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호 만안교 (萬安橋)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8호 소재지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679 만안교(萬安橋)는 효성이 지극했던 조선 제22대 정조(1776~1800 재위)가 억울하게 참화를 당한 생부(生父)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을 참배 하러 갈 때, 참배행렬이 편히 건너도록 축조한 조선후기의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1.05
[문화재답사/김포] 통진향교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0호 통진향교 (通津鄕校)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30호 소재지 : 경기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220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통진향교는 고려 인종 5년(1127)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며, 일제시대에 폐쇄되었다가 광복 후 그..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07.11.03
[문화재답사/김포] 갑관나루선착장석축로 - 경기도 기념물 제108호 갑관나루선착장석축로 (甲串나루船着場石築路) / 경기도 기념물 제108호 소재지 :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271-22 월곶면 성동리271-22번지에 소재한 갑곳나루선착장 석축로(石築路)는 지방기념물 제108호로서 성동리와 강화군 갑곳리 사이를 배편으로 연결하던 나루터이다. 갑곳이라는 명칭은..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기념물 2007.11.03
[문화재답사/김포] 김포 문수산성 - 사적 제139호 김포 문수산성 (金浦 文殊山城) / 사적 제139호 소재지 : 경기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산36-1 갑곶진과 함께 강화의 입구를 지키던 조선시대의 성이다. 조선 숙종 20년(1694)에 돌을 이용해 쌓은 석축산성으로 순조 12년(1812)에 고쳐 쌓았다. 잘 다듬어진 돌로 견고하게 쌓았고, 그 위에 몸을 숨기..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07.11.03
[문화재답사/청원] 청원 안심사 비로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청원 안심사 비로전 (淸原 安心寺 毘盧殿)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리 271 조선 광해군 5년(1613)에 세워진 건물로 조선시대 말기인 헌종 8년(1842)에 고쳤다. 안심사 비로전은 대적광전이라고도 하며 원래는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이지만 이곳에서..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0.28
[문화재답사/청원] 청원안심사세존사리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청원안심사세존사리탑 (淸原安心寺世尊舍利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소재지 : 충북 청원군 남이면 사동리 산47-1 안심사는 통일신라 혜공왕 11년(775)에 진표율사가 창건하였다. 절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세존사리탑은 절을 창건할 당시 진표율사가 직접 조..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