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당진] 면천향교 - 충청남도 기념물 제141호 면천향교 (沔川鄕校) / 충청남도 기념물 제141호 소재지 : 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3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면천향교를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태조 1년(1392)에 세웠다고 전한다. 건물 배치는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기념물 2007.12.19
당진군 면천면의 골정지 골정지(骨井池) 연못 한가운데 있는 정자가 멋스럽다. 옛날에는 부교로 되어있었다고 한다. 건곤일초정 연암 박지원이 면천군수로 부임하여 연못을 새로 보수하면서 못 가운데 정자를 세우고 '건곤일초정'이라는 간판을 걸었다. 겨울이 오기전에 연꽃이 피었을 것을 상상해본다. ☞ 들꽃의 문화재답사/기타(문화재) 2007.12.19
김유정문학촌을 찾아(기념관내부) 봄봄 [장인님! 인젠 저---] 내가 이렇게 뒤통수를 긁고 나히가 찻으니 성예 를 시켜줘야 하지 않겠느냐고 하면 그대답이 늘 [이자식아! 성예구뭐구 미처 자라야지!]하고 만다. 이 자라야 한다는것은 내가 아니라 장차 내 안해 가 될 점순이의 키 말이다. 내가 여기에 와서 돈 한푼 안받고 일하기를 삼년 .. ☞ 들꽃의 문화재답사/기타(문화재) 2007.12.17
충청남도 / 당진시 ★ 마우스를 원하는 곳에 대고 손바닥을 클릭하시면 링크된 곳으로 이동합니다. 보물 제100호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唐津 安國寺址 石造如來三尊立像) 보물 제101호 당진 안국사지 석탑 (唐津 安國寺址 石塔) 보물 제409호 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唐津 靈塔寺 金.. ★들꽃이 머물렀던 곳/충청도지역 2007.12.17
[문화재답사/당진]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 보물 제987호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唐津 申庵寺 金銅如來坐像) / 보물 제987호 소재지 : 충남 당진시 송악읍 가교길 144-9, 신암사 (가교리) 신암사에 모셔져 있는 고려시대 금동불좌상이다. 신암사는 고려 충숙왕 때 능성 구씨의 4대손인 구예가 가교리에 터를 잡으면서 지었다고 전해진다. 전체적..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12.17
[문화재답사/춘천] 춘천 칠층석탑 - 보물 제77호 춘천 칠층석탑 (春川 七層石塔) / 보물 제77호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162-2 춘천 시가지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탑이다. 조선 인조 때 이곳의 현감이었던 유정립이 인조반정으로 파직당하고 낙향하여 이 탑 부근에 집을 세우려고 터를 닦다가 ‘충원사(忠圓寺)’라는 글이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12.15
[문화재답사/춘천]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보물 제76호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春川 槿花洞 幢竿支柱) / 보물 제76호 소재지 : 강원 춘천시 근화동 793-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버티..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7.12.15
강원도 / 춘천시 ★ 마우스를 원하는 곳에 대고 손바닥을 클릭하시면 링크된 곳으로 이동합니다. 국보 제124호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보물 제76호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春川 槿花洞 幢竿支柱) 보물 제77호 춘천 칠층석탑 (春川 七層石塔) 보물 제164호 춘천 청평사 회.. ★들꽃이 머물렀던 곳/강원도지역 2007.12.15
[문화재답사/수원] 수원 화성 - 사적 제3호 수원 화성 (水原 華城) / 사적 제3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화성은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그의 아버지 장헌세자에 대한 효심에서 화성으로 수도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정조 18년(1794)에 성을 쌓기 시작하..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07.12.03
[문화재답사/수원] 팔달문동종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팔달문동종 (八達門銅鐘)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영통구 창룡문길 443 수원박물관 팔달문 2층 누각에 걸려있는 높이 123㎝, 입 지름 75㎝ 크기의 동종이다. 종을 매다는 용뉴에 1마리 용을 조각하였고, 그 아래 약간 오무라든 종의 몸체를 연결하였다. 전체적인 비..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2.03
[문화재답사/수원] 봉령사 석조삼존불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봉녕사 석조삼존불 (奉寧寺 石造三尊佛)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봉령사 대웅전 뒤편 언덕에 건물을 지으려고 땅을 파다가 출토된 삼존불(三尊佛)이다. 삼존불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모래가 많..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2.02
[문화재답사/수원]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봉녕사 불화(신중탱화.현왕탱화) (奉寧寺 佛畵(神衆幀畵.現王幀畵))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소재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 봉령사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족자나 액자의 형태로 만들어서 거는 불화의 한 종류이다. 봉령사 약사전 안에는 2폭의 탱화가 안치되어 ..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7.12.02
경기도 / 수원시 ★ 마우스를 원하는 곳에 대고 손바닥을 클릭하시면 링크된 곳으로 이동합니다. 보물 제14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보물 제402호 수원 팔달문 (水原 八達門) 보물 제403호 수원 화서문 (水原 華西門) 보물 제1477-1호 채제공 초상 일괄-시복본 (蔡濟恭 肖.. ★들꽃이 머물렀던 곳/경기도지역 2007.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