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61

[문화재답사/제천] 제천무암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14호

제천무암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堤川霧岩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14호 소재지 : 충북 제천시 금성면 성내리 산1 제천 무암사(霧岩寺)는 금수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시대에 지어졌다고 하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법당인 극락전은 영조 1..

[문화재답사/청주] 청주탑동오층석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청주탑동오층석탑 (淸州塔洞五層石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탑동 251 청주 탑동에 서 있는 탑으로, 지금 자리에서 서쪽으로 40m 지점에 무너져 있던 것을 옮겨 세운 것이다. 이 탑으로 인하여 ‘탑동’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겨났다. 형태로 보..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淸州 菩薩寺 極樂寶殿)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6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보살사는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처음 지었으며,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유서 깊은 절이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보전은 조선 초기에 지은 것으로 선조(재위 15..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척화비 - 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

청주 척화비 (淸州 斥和碑) / 충청북도 기념물 제23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13 척화비는 조선 후기 병인양요(1866)와 신미양요(1871)를 승리로 이끈 흥선대원군이 온 백성에게 서양세력에 대한 경계심을 일깨우고자 서울과 전국 교통요지에 세우도록 한 비이다. 이 척화비..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조헌 전장기적비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청주 조헌 전장기적비 (淸州 趙憲 戰場記蹟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6 조선시대 의병장인 조헌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로, 임진왜란 당시 그가 승리를 이루었던 이곳 청주에 자리하고 있다. 조헌은 명종 22년(1567) 과거에 급제한 후..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망선루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청주 망선루 (淸州 望仙樓)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1가 154 고려시대 청주관청의 하나로 관리들이 머무는 숙소인 객관 동쪽에 있던 취경루에서 유래한 것이다.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기념으로 ..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호

청주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淸州 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남문로2가 92-6 청주읍성 안에 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이다. 병영의 출입문은 보통 원문이라고 부르며, 좌우로 담장이 이어져 병영을 에워싸고 있다. 충청도병마절..

[문화재답사/청주] 청주보살사석조이존병립여래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청주보살사석조이존병립여래상 (淸州菩薩寺石造二尊竝立如來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4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커다란 판석에 두 불상을 나란히 돋을새김 하였는데, 하나의 광배(光背)에 두 불상을 새긴 이른바 일광이불상(一光二佛像)으로 두 불상은 크기..

[문화재답사/청주] 청주보살사오층석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청주보살사오층석탑 (淸州菩薩寺五層石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65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동 7 보살사는 청주 근교에서 가장 오래된 사찰로, 신라 진흥왕 28년(567)에 의신이 창건하였다. 보살사 극락보전 앞에 자리한 이 탑은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