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61

[문화재답사/화성]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 보물 제1095호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佛座像腹藏典籍一括) / 보물 제1095호 소재지 : 경기 화성시 용주로 136, 용주사 (송산동) 수진본(袖珍本) 금강반야파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금강경(金剛經)으로 약칭되는 구마라십(鳩摩羅什) 역(譯)의 금강..

청주목우사지석조여래입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0호

청주목우사지석조여래입상 (淸州牧牛寺址石造如來立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0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담동 산22-5 봉황사 목우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원래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 33번지 목암사에 있던 불상을 최근 봉황사로 옮겨온 것이다. 목암사는 최근에 ..

[문화재답사/청주] 청주 압각수 - 충청북도 기념물 제5호

청주 압각수 (淸州 鴨脚樹) / 충청북도 기념물 제5호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92-6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

[문화재답사/천안] 천안성불사마애석가삼존16나한상및불입상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천안성불사마애석가삼존16나한상및불입상 (天安成佛寺磨崖釋迦三尊16羅漢像및佛立像)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안서동 178-8 천안시 안서동 소재 성불사(문화재자료 제10호)는 고려 태조 4년 연기 도선 또는 고려 태조때의 혜선국사, 혜조대사가 창건하..

[문화재답사/천안] 천안성불사석조보살좌상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6호

천안성불사석조보살좌상 (天安成佛寺石造菩薩坐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6호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안서동 178-8 천안 성불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석조보살좌상으로, 이 불상은 연기군 조치원에 위치한 대성천의 준설작업 중 발견된 불상으로 전하며, 14∼15년 전에 현재의 성..

[문화재답사/천안] 성불사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호

성불사 (成佛寺)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0호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안서동178-8 태조산에 있는 절로, 고려 태조(재위 918~943) 때 도선국사가 처음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고려 목종 5년(1002)에 담혜가, 1398년에는 조선 태조가 무학대사의 권유로 고쳐 세웠다고 하는데 ..

[문화재답사/천안] 만일사석불좌상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만일사석불좌상 (晩日寺石佛坐像)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에 있는 만일사(晩日寺)는 고려 태조 4년(921)에 도선이 지은 사찰로, 석가모니불과 5층 석탑을 만들어 놓았다고 하나 신빙성은 없다. 높이 164㎝의 불..

[문화재답사/천안] 만일사마애불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5호

만일사마애불 (晩日寺磨崖佛)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5호 소재지 :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50-2 충청남도 천원군 성거읍 청흥리의 만일사 법당 뒤의 자연암벽에 돋을새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미완성의 불상이며 마멸이 심해 윤곽을 알아보기 어렵다. 머리 부분은 직사각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