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373

[문화재답사/금산] 청풍사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호

청풍사 (淸風祠)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6호 소재지 : 충남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 246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분인 충절공 야은 길재 선생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선생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목조건물이다. 길재 선생은 1353년(공민왕 2년)..

[문화재답사/김제] 금산교회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

금산교회 (金山敎會)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290-1 금산교회는 전주선 교부의 미국 선교사 데이트(Lews Boyd Tate)가 지은 한옥교회이다. 조선 예수교 장로회의 사기(事記)에 의하면, 처음의 교회는 1905년에 5칸으로 지었으나, 1908년 지금의 자리로 옮..

[문화재답사/논산] 죽림서원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5호

죽림서원 (竹林書院)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5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95 죽림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으로 선현(先賢)에 대한 봉사(奉祀)와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적 기능을 겸하여 설립된 것이다. 서원은 유현(儒賢: 유학에 정통하고 언행이 바른 선비)을 제사 ..

[문화재답사/정선] 정암사적멸보궁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2호

정암사적멸보궁 (淨岩寺寂滅寶宮)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2호 소재지 : 강원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1 정암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옛 사찰로 적멸보궁은 이 절의 법당에 해당하는 건물로 불상을 모시지 않았으며, 적멸보궁은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를 모셔놓는 건물을 ..

[논산여행] 파평윤씨 노종파 대종중의 재실인 병사와 윤창세 묘소 일원

파평윤씨재실 (坡平尹氏齋室)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99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121 파평윤씨의 재실로 일명 병사(丙舍)라 하며, 병사는 보통 묘소 근처에 지은 묘지기가 사는 작은 집인 묘막을 말한다. 이곳에 재실(齋室) :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려고 지은 집)..

[문화재답사/논산] 파평윤씨덕포공재실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9호

파평윤씨덕포공재실 (坡平尹氏德浦公齋室)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59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121 파평 윤씨 덕포공파의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조선시대 문신 윤진(1631 ~ 1698)선생의 재실이다. 윤진선생은 파평인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 윤순거의 아들로 1652년 생원시에 합..

[문화재답사/달성] 소재사대웅전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3호

소재사대웅전 (消災寺大雄殿)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3호 소재지 : 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4 소재사는 비슬산 남서 중턱 해발 450미터에 자리하고 있다. 최초 창건 시기는 신라 시대로 전해지고 있다. 2000년 대웅전 보수시 확인된 상량문의 내용에는 1673년에 명부전과 함께 지었으며,..

[문화재답사/달성] 소재사목조지장보살좌상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4호

소재사목조지장보살좌상 (消災寺木造地藏菩薩坐像)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4호 소재지 : 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4 소재사는 비슬산 남서 중턱 해발 450미터에 자리하고 있으며 최초 창건 시기는 신라 시대로 전해지고 있다. 소재사목조지장보살좌상은 대웅전 우측에 있는 명부전에..

[문화재답사/대구] 수구당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1호

수구당 (數咎堂)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1호 소재지 : 대구 동구 둔산동 387 대구 옻골마을에 있는 수구당은 옻골마을의 입향조인 최동집의 12세손이 되는 최명덕이 아들의 분가를 위해 건립한 살림집으로 경주최씨 종가 바로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1724년 실학자인 백불암 최흥원 선..

[문화재답사/대구] 최흥원정려각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0호

최흥원정려각 (崔興遠旌閭閣)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0호 소재지 : 대구 동구 둔산동 375 최흥원 정려각은 옻골마을을 들어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건물로 1789년(정조 13년) 정조임금이 실학자이신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선생의 효행과 학행을 기리기 旌門(정문)을 세울 것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