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평택]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 - 보물 제567호

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 (平澤 萬奇寺 鐵造如來坐像) / 보물 제567호 소재지 : 경기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181-82, 만기사 (동천리)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만기사에 있는 이 철조여래좌상은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불상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불상을 받치는 대좌(臺座)는 없고 불신만 ..

[문화재답사/인천] 관음좌상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

관음좌상 (觀音坐像)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호 소재지 : 인천 연수구 옥련동 52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이름을 부르기만 해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관음보살상을 표현한 것으로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위에 앉아 있다. 머리에는 구슬로 장식된 보관(寶冠)을 쓰고, 가슴에는 화려한 ..

[문화재답사/인천] 목조여래좌상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

목조여래좌상 (木造如來坐像)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 소재지 : 인천 연수구 옥련동 52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인천광역시 시립박물관에 있는 이 불상은 나무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전체적으로 단정한 자세이면서 균형잡힌 모습의 얼굴표정은 많지 않은..

[문화재답사/인천] 목조보살좌상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목조보살좌상 (木造菩薩坐像)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 소재지 : 인천 연수구 옥련동 525 인천광역시립박물관 정확한 연대 측정은 어려우나 조선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목조보살상이다. 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고, 관 사이로 나온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길게 늘어..

[문화재답사/남원] 백장암보살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백장암보살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6호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의 백장암은 실상사와 같은 시대인 9세기 초에 창건된 사찰이다. 임진왜란으로 실상사가 폐허화되었을 때는 약 200년 동안 실상사의 승려들이 이 절에서 머물렀다고 한..

[문화재답사/합천] 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 - 보물 제1232호

진주청곡사목조제석천·대범천의상(晋州靑谷寺木造帝釋天·大梵天倚像) / 보물 제1232호 소재지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성보박물관 (치인리) 제석천과 대범천은 원래 브라만 또는 힌두교의 신상(神像)이었으나, 대승불교 이후 불법을 지키는 신상이라 여겨 사천..

[문화재답사/합천]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 보물 제999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陜川 海印寺 乾漆希朗大師坐像) / 보물 제999호 소재지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인사 (치인리) 해인사 조사였던 고려시대 희랑대사의 진영상(眞影像)으로 경상남도 합천의 해인사에 모셔져 있다. 고려 건국 당시 해인사 승려들은 견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