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당진] 영랑사범종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1호

영랑사범종 (影浪寺梵鐘)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1호 소재지 : 충남 당진시 고대면 진관리 529 법당 안에서 예불을 드릴 때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높이 78㎝, 입 지름 52㎝의 조선시대 종이다. 영조 24년(1748)에 주조된 것이라는 명문이 남아있으며, 종 아래쪽에는 시주한 사람들의 이..

[문화재답사/당진] 당진 영랑사 대웅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

당진 영랑사 대웅전 (唐津 影浪寺 大雄殿)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 소재지 : 충남 당진시 고대면 진관로 142-52(진관리 529) 영랑사는 신라 진흥왕 25년(564)에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설과 백제 의자왕 8년(648)에 당나라 아도화상이 세웠다는 두 가지 설이 있으나 모두 신빙성이 없다. 고려 ..

[문화재답사/강릉] 강릉 경포대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강릉 경포대 (江陵 鏡浦臺)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저동 관동팔경의 하나로 경포호수 북쪽 언덕에 있는 누각이다. 고려 충숙왕 13년(1326)에 방해정 뒷산 인월사 터에 처음 지었던 것을 조선 중종 3년(1508)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다시 지었다. 그 뒤에도 여..

[문화재답사/강릉] 강릉석불입상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강릉석불입상 (江陵石佛立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립박물관내) 강릉시 옥천동에 있던 것을 1992년 오죽헌 시립박물관으로 이전한 높이 1.78m의 석불상이다. 대좌(臺座)와 불신은 다른 돌로 만들었으며, 머리와 몸통은 2조각 나 있던 것..

[문화재답사/강릉] 강릉귀부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호

강릉귀부 (江陵龜趺)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립박물관내)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의 앞뜰에 놓여 있는 비의 받침돌로, 거북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이 받침돌은 거북의 목이 짧고 얼굴은 등과 거의 수평을 ..

[문화재답사/강릉] 난설헌시집목판초간본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난설헌시집목판초간본 (蘭雪軒詩集木板初刊本)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난설헌시집』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여류시인 허난설헌(1563∼1589)이 남긴 210여수의 작품을 모은 시문집으로, 이를 동생인 『홍길동전』의 ..

[문화재답사/강릉] 신사임당초서병풍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1호

신사임당초서병풍 (申師任堂草書屛風)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1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201 이 병풍은 신사임당(1504∼1551)이 초서로 쓴 오언절구의 6폭 병풍이다. 신사임당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예술가로,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다. 19세에 이원수와 결혼하였고, 아버지가 ..

[문화재답사/강릉] 매창 매화도 및 옥산 국화도첩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호

매창 매화도 및 옥산 국화도첩 (梅窓 梅花圖 및 玉山 菊花圖帖)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201 이매창과 이옥산은 신사임당의 자녀로, 둘 모두 어머니의 재능을 이어받아 예능에 뛰어난 솜씨를 지녔다. 매창의 매화도는 가로 26.5㎝, 세로 30㎝의 종이에 그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