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강릉] 옥산서병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호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3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201 옥산서병은 이옥산의 글씨를 모아 병풍으로 만든 것이다. 오죽헌 기념관에 있는 것으로, 이옥산의 어렸을 때의 작품이다. 도연명의 「귀거래사」를 초서체로 쓴 것인데, 어머니 신사임당의 글씨체를 닮았다. 이옥산은 어..

[문화재답사/강릉] 박중신문과급제교지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박중신문과급제교지 (朴中信文科及第敎旨)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교지는 임금이 신하에게 어떤 사실이나 명령을 전할 때 내리는 문서이다. 이것은 조선 세종 20년(1438) 박중신(1390∼?)이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음..

[문화재답사/강릉] 신사임당초충도병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신사임당초충도병 (申師任堂草蟲圖屛)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201 신사임당이 채색하여 그린 8폭의 병풍그림으로, 각 폭마다 각기 다른 풀과 벌레를 그려 놓아 ‘초충도’라고 부르고 있다. 병풍은 율곡 이이 선생을 모시는 송담서원에 있었는데, ..

[문화재답사/강릉] 율곡유품(벼루,토지양여서)-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호

율곡유품(벼루,토지양여서) (栗谷遺品(벼루,土地讓與書))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율곡 이이가 쓰던 벼루와 토지 양여서이다. 벼루는 가운데가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패여 있고, 위쪽과 아래쪽에 나뭇가지와 잎사귀를 ..

[문화재답사/강릉] 이씨분재기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호

이씨분재기 (李氏分財記)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죽헌동 177-4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신사임당의 어머니이며, 강릉 향현사(鄕賢祠)에 모셔져 있는 최응현 선생의 외손녀인 용인 이씨 부인이 5명의 딸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면서 작성한 재산분재 기록문..

[문화재답사/강릉] 강릉 오죽헌 율곡매 - 천연기념물 제484호

강릉 오죽헌 율곡매 (江陵 烏竹軒 栗谷梅) / 천연기념물 제484호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율곡로3139번길 24 (죽헌동) 오죽헌이 들어설 당시인 1400년경에 이 매화나무도 같이 심겨졌다하며, 신사임당과 율곡이 직접 가꾸었다고 전해진다. 신사임당은 고매도, 묵매도 등 여러 매화 그림을..

[문화재답사/합천] 합천 월광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 보물 제129호

합천 월광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陜川 月光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 보물 제129호 소재지 : 경남 합천군 야로면 월광리 369-1, 365-1 월광사터에 동서로 세워진 쌍탑으로, 모두 2층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모습이다. 기단은 아래·윗층 모두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

[문화재답사/합천]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265호

합천 청량사 석조여래좌상 (陜川 淸凉寺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265호 소재지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청량동길 144, 청량사 (황산리) 불신, 대좌(臺座), 광배(光背)가 모두 갖추어진 완전한 형태의 불상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작게 표현되어 있고, 풍만한 둥근 얼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