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영주]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국보 제45호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榮州 浮石寺 塑造如來坐像) / 국보 제45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부석사 무량수전에 모시고 있는 소조불상으로 높이 2.78m이다. 소조불상이란 나무로 골격을 만들고 진흙을 붙여가면서 만드는 것인데, 이 불상은 우리나라 소조불..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5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부석사 조사당 - 국보 제19호 영주 부석사 조사당 (榮州 浮石寺 祖師堂) / 국보 제19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북지리)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5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국보 제18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 국보 제18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5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앞 石燈) / 국보 제17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이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4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 보물 제735호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 (榮州 浮石寺 高麗木板) / 보물 제735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이 판은 부석사에 있는『화엄경』정원본 40권, 진본 60권, 주본 80권 등 3종의 대방광불화엄경을 나무판에 새긴 것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하는..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08.03.23
[문화재답사/영주] 부석사조사당벽화 - 국보 제46호 부석사조사당벽화 (浮石寺祖師堂壁畵) / 국보 제46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9 부석사 이 벽화는 부석사를 창건하고 우리나라에서 화엄종을 처음 시작한 의상대사를 모시고 있는 부석사조사당(국보 제19호) 안쪽 벽면에 사천왕과 제석천, 범천을 6폭으로 나누어 그린 ..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3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금성대군 신단 - 사적 제491호 영주 금성대군 신단 (榮州 錦城大君 神壇) / 사적 제491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 일원 조선 세조 때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화를 당한 세종의 여섯째 아들인 금성대군(1426∼1457)을 비롯하여 이보흠 등 그 일에 연루되어 목숨을 잃은 많은 이름 없는 의사(義士..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08.03.23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소수서원 - 사적 제55호 영주 소수서원 (榮州 紹修書院) / 사적 제55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임금이 이름을 지어 내린 사액서원이자 사학(私學)기관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에 풍기군수 주세붕이 안향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가, 중종 38년(1543)에 유생들을..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08.03.22
[문화재답사/영주] 안향초상 - 국보 제111호 안향초상 (安珦 肖像) / 국보 제111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 소수박물관 (내죽1리) 고려 중기 문신인 회헌 안향(1243∼1306) 선생의 초상화로 가로 29㎝, 세로 37㎝의 반신상이다.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하였으며, 여러 차례에 걸쳐 원..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보 2008.03.22
[문화재답사/영주]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0호 명종어필‘소수서원’현판 (明宗御筆‘紹修書院’懸板)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30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2-1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의 현판으로, 사액서원으로 될 당시 조선시대 명종이 이름을 지어 그것을 직접 쓴 것이다. 사액서원이란 임금..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08.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