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공주] 공산성진남루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8호

공산성진남루 (公山城鎭南樓)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8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공산성의 출입통로로 이용되고 있는 진남루는 성의 남문에 해당되며, 조선시대에는 삼남의 관문이었다. 원래 토성(土城)이었던 것을 석축성(石築城)으로 고쳐 세운 것은 조선 전기의 일이다. 진남..

[문화재답사/공주] 명국삼장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6호

명국삼장비 (明國三將碑)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6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 10-2 공산성 공북루 아래에 자리한 한채의 비각안에 3기의 비가 나란히 서 있다. 이 비들은 정유재란 이듬해인 선조 31년(1598) 공주에 주둔해 있으면서 주민들을 왜군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해 준 명..

[문화재답사/공주] 공산성광복루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0호

공산성광복루 (公山城光復樓)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0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 2 공산성 안에서 군사가 주둔하던 중군영(中軍營)의 문이었으나 광복 이후 8·15해방을 기리는 뜻으로 광복루라 불렀다. 광복루는 원래 공산성의 북문인 공북루 옆에 있던 것을 현 위치로 옮..

[문화재답사/공주] 공주공산성연지 - 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공주공산성연지 (公州公山城蓮池) / 충청남도 기념물 제42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 58 공산성 안에 있는 연못 중 하나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석축을 단이 지게 정연하게 쌓아 동서로 최대 길이 21m, 너비 12m 정도로 위를 넓게 하고, 아래는 최대 길이 9m, 너비 4m로 좁혀 쌓아 석..

[문화재답사/공주] 공북루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7호

공북루 (拱北樓)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7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 165 공산성의 북문으로 강남과 강북을 오가는 남북통로의 길이다. 조선 선조 36년(1603)에 관찰사 유근이 쌍수산성을 고쳐 세우면서, 이 자리에 있었던 망북루를 다시 지어 공북루로 고쳐 부르고, 그 옆에 ..

[문화재답사/공주] 목사김효성의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1호

목사김효성의비 (牧使金孝誠의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1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금성동16-1 조선 중기의 문신인 김효성 선생의 비이다. 김효성(1585∼1665)은 광해군 5년(1613) 생원이 되었으며,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정조, 윤인, 이위경 등이 인목대비를 해치려고 할 때 이들의 ..

[문화재답사/공주] 덕천군묘출토분청이부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1호

덕천군묘출토분청이부호 (德泉君墓出土紛靑耳咐壺)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1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덕천군의 무덤를 이장하면서 출토된 손잡이가 달린 항아리(분청이부호) 2점이다. 덕천군(1377∼1465)은 조선 정종의 10남으로, 세조 때 녹원공신으로 ..

[문화재답사/공주]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979호

공주 서혈사지 석조여래좌상 (公州 西穴寺址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979호 소재지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서혈사터에서 출토된 3구의 불상 중 하나이다. 서혈사지는 백제시대에 창건되어 작은 규모로 운영되다가 통일신라시대에 본격적인 사찰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