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목포] 목포달성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목포달성사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木浦達聖寺木造阿미陀三존佛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소재지 : 전남 목포시 죽교동 317 달성사 달성사는 목포시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유달산의 동남쪽 중턱에 있다. 목포시에서 발행한 『내고장전통가꾸기』(1981년간) 및 목포시사(1987..

[문화재답사/목포] 목포달성사목조지장보살반가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9호

목포달성사목조지장보살반가상 (木浦達聖寺木造地藏菩薩半跏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9호 소재지 : 전남 목포시 죽교동 317 달성사 달성사는 목포시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유달산의 동남쪽 중턱에 있다. 목포시에서 발행한 『내고장전통가꾸기』(1981년간) 및 목포시사(1987년간,..

[문화재답사/경주] 경주사마소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경주사마소 (慶州司馬所)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소재지 : 경북 경주시 교동 89-1 사마소는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합격한 지방의 선비들에게 유학을 가르치거나 정치를 토론하던 곳이다. 또한 자기수양을 위해 선비들이 찾던 곳으로, 연산군 때에는 백성들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고 ..

[문화재답사/순창] 강천사모과나무 - 전라북도 기념물 제97호

강천사모과나무 (剛泉寺모과나무) / 전라북도 기념물 제97호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5 전라북도 순창군의 강천산군립공원내에 있는 강천사 앞의 도로 옆에 있는 나무로 강천사 모과나무의 나이는 3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20m, 둘레는 3.1m이다. 이 모과나무는 강천사를 ..

[문화재답사/순창] 강천사오층석탑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

강천사오층석탑 (剛泉寺五層石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92호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996 전라북도 순천군의 강천산군립공원내의 강천사 대웅전 앞마당에 서 있는 5층 석탑이다. 1층 기단(基壇) 위로 5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화강암으로 정교하게 다듬었다. 탑신..

[문화재답사/순창] 순창삼인대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순창삼인대 (淳昌三印臺)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소재지 : 전북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산271 전라남도 순창군의 강천산군립공원 내의 강천사 맞은 편 하천 건너에 있다. 조선 연산군 12년(1506) 훈구세력인 성희안과 박원종이 임사홍, 신수근 등과 결합하여 포악한 정치를 거듭하던 연..

[문화재답사/서울] 진관사 소장 태극기 및 독립신문류 - 등록문화재 제458호

진관사 소장 태극기 및 독립신문류 / 등록문화재 제458호 소재지 : 서울 은평구 진관동 354 (진관사) 2009년 5월에 서울시 은평구 소재 진관사(津寬寺) 칠성각(七星閣) 해체 보수과정에서 내부 불단과 벽체사이에 있던 태극기와 독립신문류 등 6종 21점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신문류의 발행일..

[문화재답사/부여]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 보물 제184호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扶餘 長蝦里 三層石塔) / 보물 제184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

[문화재답사/부여]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 보물 제185호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 보물 제185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66 무량사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