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답사/춘천] 청풍부원군상여 - 국가민속문화재 제120호 청풍부원군상여 (淸風府院君喪輿) / 국가민속문화재 제120호 소재지 : 강원 춘천시 석사동 27-1 국립춘천박물관 청풍부원군 김우명(金佑明)의 초상때 나라에서 하사하여 사용하였던 상여(喪輿)이다. 청풍부원군은 대동법을 실시한 ‘김육’의 둘째 아들로서 본관이 청풍(淸風)이며 현종의 .. ☞ 들꽃의 문화재답사/국가민속문화재 2012.02.12
[문화재답사/과천] 과천향교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호 과천향교 (果川鄕校)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호 소재지 : 경기 과천시 중앙동 81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과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지었고 숙종 16년(1690)에 과천 서이면에서 지금 있는 ..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12.02.11
[문화재답사/과천] 온온사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온온사 (穩穩舍)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소재지 : 경기 과천시 관문동 107-5 조선시대 정조(1776∼1800)가 수원에 있는 장릉에 가는 길에 머무르던 객사이다. 객사는 외부 관리들이 그 마을에 들렀을 때 숙소로 이용하던 곳으로 마을의 중심에 위치한다. 현재 객사 건물은 인조 27..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2012.02.11
[문화재답사/완주] 안심사부도군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6호 안심사부도군 (安心寺浮屠群)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86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운주면 완창리 22외 1필지 안심사는 신라 선덕여왕 7년(638)에 창건된 사찰로, 한국전쟁 이전까지 존재하였다고 한다. 당시에는 30여개의 건물과 13개의 암자가 딸려 있었다 하나, 모두 불에 타 버리..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12.02.11
[문화재답사/창녕]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 보물 제1730호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昌寧 觀龍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臺座) / 보물 제1730호 소재지 : 경남 창녕군 창년읍 옥천리 관룡사 경상남도 창녕군 관룡사의 목조석가여래삼불상은 좌우에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로 구성된 삼불상이다. 본존불의 대좌 밑쪽에 ..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12.02.10
[문화재답사/장수] 장수향교 대성전 - 보물 제272호 장수향교 대성전 (長水鄕校 大成殿) / 보물 제272호 소재지 : 전북 장수군 장수읍 향교길 31-14 (장수리) 장수향교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덕행이 훌륭한 사람들을 모셔 제사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교육기관이다. 지금의 자리로 옮긴 것은 숙종 12년(1686)때의..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12.02.08
[문화재답사/장수] 정충복비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정충복비 (丁忠僕碑)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소재지 : 전북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203-1 장수읍의 향교 앞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조선시대 중기 사람인 정경손의 의로운 뜻을 기리고 있다. 정경손의 호는 충복으로, 임진왜란 당시 향교 내의 문묘(文廟)를 지키고 있었는데, 왜.. ☞ 들꽃의 문화재답사/문화재자료 2012.02.08
[문화재답사/광주] 광주 충효동 요지 - 사적 제141호 광주 충효동 요지 (光州 忠孝洞 窯址) / 사적 제141호 소재지 : 광주 북구 금곡동 179-5 무등산 북쪽 충효동에 자리잡은 가마터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까지 상감청자·분청사기·백자를 굽던 곳이다. 가마의 구조는 사람이 드나드는 출입시설·도자기를 집어넣는 번조실·굴뚝.. ☞ 들꽃의 문화재답사/사적 2012.02.07
[문화재답사/광주] 무진고성지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4호 무진고성지 (武珍古城址) /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4호 소재지 : 광주 북구 북구 두암동 산136외, 동구 지산동.산수동 일원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산에 있는 성터로, 무등산의 북쪽 지맥인 장원봉을 중심으로 잣고개의 장대봉과 제4수원지 안쪽의 산 능선을 따라 타원형으로 만들어졌.. ☞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기념물 2012.02.06
[문화재답사/광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보물 제1507호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光州 紫雲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 보물 제1507호 소재지 : 광주 동구 지호로106번길 8-8, 자운사 (지산동)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은 복장품에서 1388년 중수개금한 내용의 기문이 발견되어 그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 들꽃의 문화재답사/보물 2012.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