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광주] 장흥임씨묘출토복식 - 국가민속문화재 제112호

장흥임씨묘출토복식 (長興任氏墓出土復飾) / 국가민속문화재 제112호 소재지 : 광주 북구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임진왜란때 의병장이였던 김덕령(1567∼1596)장군의 조카며느리인 장흥 임씨(任氏)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장흥 임씨의 생존시기가 김덕령 장군과 같은 시대로 기록됨에 따..

[문화재답사/양양] 양양서림사지삼층석탑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0호

양양서림사지삼층석탑 (襄陽西林寺址三層石塔)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20호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서림리 74-1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운동장 한쪽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는 이곳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논에 있던 것을 1965년 옆에 있는 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강..

[문화재답사/양양] 양양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19호

양양서림사지석조비로자나불좌상 (襄陽西林寺址石造毘盧舍那佛坐像)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19호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서면 서림리 74-1 현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상평초등학교 현서분교 교정에 3층석탑과 함께 보존되어 있는 불상으로, 원래 이곳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

[문화재답사/광주]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보물 제109호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傳)光州 聖居寺址 五層石塔) / 보물 제109호 소재지 : 광주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구동) 광주공원 안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으로 이 부근은 성거사(聖居寺)터라고 전해진다. 이 광주공원은 원래 성거산(聖居山)이라 불렀는데, 산의 모양이 거북처럼 ..

[문화재답사/양양]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 천연기념물 제529호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 천연기념물 제529호 소재지 : 강원 양양군 오색약수는 조선 중기 1500년 무렵 오색석사(현 성국사)라는 절의 스님이 반석위로 솟는 물을 우연히 마셔보고 처음 발견했다고 하며, 약수에서 5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오색약수라 불렀다고 한다. 토양에 흡수된 물..

[문화재답사/광주] 고운묘출토유물 - 국가민속문화재 제239호

고운묘출토유물 (高雲墓出土遺物) / 국가민속문화재 제239호 소재지 : 광주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조선 중기 호남사림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고운(高雲)의 무덤에서 출토된 옷을 비롯한 유물들이다. 고운(1479∼1530)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 고경명의 할아버지로 조선 중종 ..

[문화재답사/광주] 십신사지석불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십신사지석불 (十信寺址石佛)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소재지 : 광주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대황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구 광주농고터로 옮겼다가 다시 광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8각의 돌기둥 표면에 불상, 대좌(臺座) 등을 간략히 표현..

[문화재답사/광주] 십신사지석비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십신사지석비 (十信寺址石碑)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소재지 : 광주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십신사터에 남아 있던 비로, 1990년 10월 11일 광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 세웠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형태이다. 거북받침은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