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서울] 봉은사 목 사천왕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60호

봉은사 목 사천왕상 (奉恩寺 木 四天王像)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60호 소재지 : 서울 강남구 삼성동 73 봉은사 봉은사에 있는 사천왕상은 재질은 나무인데 원래 봉은사 천왕문 안에 모셨던 것을 지금의 진여문으로 옮겼다. 사천왕은 수미산 중턱에 살면서 동서남북을 지키고 ..

[문화재답사/증평] 남하리석조미륵보살입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

남하리석조미륵보살입상 (南下里石造彌勒菩薩立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8호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133-5 증평읍 남하리 마을 논밭 사이에 북쪽을 향하여 서 있는 불상으로, 작은 2구의 불상과 함께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49년 마을 뒷산에 성주사를 세운 윤..

[문화재답사/경주]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 국보 제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慶州 九十八號 南墳 琉璃甁 및 盞) / 국보 제193호 소재지 : 서울 용산구 경주시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발견된 병 1점과 잔 3점의 유리제품이다. 병은 높이 25㎝, 배지름 9.5㎝이고, 잔① 높이 12.5㎝, 아가리 지름 10㎝ 잔..

[문화재답사/증평] 미암리사지석조관음보살입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8호

미암리사지석조관음보살입상 (彌巖里寺址石造觀音菩薩立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8호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송산리 산1-5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송산리에 있는 불상으로, 머리 위에 있던 보(寶蓋石)은 깨져 보호각 밖의 고목 밑에 있다. 눈썹사이에는 동그란 백호(白..

[문화재답사/증평] 남하리사지마애불상군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7호

남하리사지마애불상군 (南下里寺址磨崖佛像群)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97호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대산을 배경으로 동향한 기슭에 남하리사 절터가 있다. 이 절터 근처 암벽의 3면에 모두 5구의 불·보살상이 조각되어 있다. 중앙..

[문화재답사/안동] 봉정사삼층석탑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봉정사삼층석탑 (鳳停寺三層石塔)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소재지 :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극락전의 영역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이다. 2층 기단(基壇)을 쌓아 탑의 토대를 마련하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과 머리장식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아래·..

[문화재답사/증평] 남하리삼층석탑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남하리삼층석탑 (南下里三層石塔)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 소재지 :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하리 산35-2 바위의 윗부분을 평평히 다듬고 네모난 받침돌을 놓아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이다. 탑신의 1·3층 몸돌은 각각 한 돌로 되어있고, 2층 몸돌은 1층 지붕돌과 한 돌로 ..

[문화재답사/영주] 부석사삼층석탑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부석사삼층석탑 (浮石寺三層石塔)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0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57 부석사에서 약 200m 떨어져 있는 옛 절터에 남아 있던 두 탑으로, 1966년 이곳 부석사로 옮겨 세웠다. 탑을 옮길 때 세워 놓은 비석에 의하면 서쪽의 탑은 익산왕궁리오층석탑(..

[문화재답사/예산] 수덕사삼층석탑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수덕사삼층석탑 (修德寺三層石塔)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 소재지 :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20 수덕사 수덕사내의 조인정사 앞에 자리한 고려시대 3층 석탑이다. 형태는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과 탑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