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안산] 쌍계사현왕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쌍계사현왕도 (雙溪寺現王圖)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소재지 : 경기 안산시 대부북동 1058 현왕도는 사람이 죽었을 때 생전에 저지른 죄질을 심판하는 염라왕을 그린 것이다. 병풍으로 둘러싸인 가운데 경책을 올려놓은 관을 쓴 현왕이 깃이 녹색인 붉은 도포를 입고 호랑이 ..

[문화재답사/진도] 용장사석불좌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호

용장사석불좌상 (龍蔣寺石佛坐像)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호 소재지 :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산90 진도의 용장산성 아래에 있는 용장사 극락전에 있는 불상으로 사각형의 대좌(臺座)위에 사각형 광배(光背)로 등에 붙이고 앉아 있는 약사불상이다. 머리칼은 두건처럼 묘사..

[문화재답사/울릉] 울릉나리동투막집 - 국가민속문화재 제257호

울릉나리동투막집 (鬱陵羅里洞 투막집) / 국가민속문화재 제257호 소재지 :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1길 71-316, 외 1필지 (나리) 이 집은 울릉도 개척당시(1883년)에 있던 울릉도 재래의 집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투막집으로서 1945년대에 건축한 것이다. 이 집은 4칸 일자집으로 지붕을 새로 이었..

[문화재답사/완주] 완주 화암사 우화루 - 보물 제662호

완주 화암사 우화루 (完州 花巖寺 雨花樓) / 보물 제662호 소재지 : 전북 완주군 경천면 화암사길 271 (가천리) 화암사는 불명산 시루봉 남쪽에 있는 절로 본사인 금산사에 딸린 절이다. 절을 지을 당시의 자세한 기록은 없으나 원효와 의상이 유학하고 돌아와 수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

[문화재답사/울릉]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 천연기념물 제52호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鬱陵 羅里洞 울릉국화와 섬백리향群落) / 천연기념물 제52호 소재지 :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 320-1 울릉국화는 들국화의 한 종류인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9∼10월에 핀다. 섬백리향은 키가 작고 밑둥에서 가지를 많이 치는 나무로 잎은 봄에 돋..

[문화재답사/의성] 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 (義城觀德洞石造菩薩坐像)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6호 소재지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889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의 3층석탑과 함께 있는 불상으로 높이는 98㎝이다. 목 부분이 잘려나간 것을 올려 놓은 상태이며, 얼굴은 심하게 닳아서 코 ..

[문화재답사/의성] 의성 빙계리 얼음골 - 천연기념물 제527호

의성 빙계리 얼음골 / 천연기념물 제527호 소재지 : 경북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산70 의성 빙계리의 얼음골은 경사면에 쌓인 암괴들(Talus, 애추崖錐)이 만드는 자연현상으로, 암괴 틈에 저장된 찬공기가 여름철에 외부의 더운 공기와 만나 물방울과 얼음을 만들고, 겨울에는 따뜻한 ..

[문화재답사/울릉] 울릉 성인봉 원시림 - 천연기념물 제189호

울릉 성인봉 원시림 (鬱陵 聖人峰 原始林) / 천연기념물 제189호 소재지 :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 산44-1 원시림(原始林)이란 오랜 기간 동안 중대한 피해를 입은 적이 없고, 또한 인간의 간섭을 받은 적이 없는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숲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는 이미 원시림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