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 173

[문화재답사/안산] 쌍계사목조여래좌상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쌍계사목조여래좌상 (雙溪寺木造如來坐像)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1호 소재지 : 경기 안산시 대부북동 1058 목조여래좌상은 좁은 어깨에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소라모양의 나발이 촘촘하고,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높이 솟아 있으며, 이마 위쪽에 타..

[문화재답사/보은] 법주사 수정암 석조여래좌상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0호

법주사 수정암 석조여래좌상 (法住寺 水晶庵 石造如來坐像)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70호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209번지 수정암은 법주사 암자로서 보은군지에 의하면 1914년 張泰守 비구니가 창건하였으며, 1973년 極樂殿과 眞影閣, 요사채 등을 중건하였다. 극락..

[문화재답사/충주]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

충주 원평리 석조여래입상 (忠州 院坪里 石造如來立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호 소재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원평리 108 연꽃이 새겨진 대좌(臺座) 위에 8각형의 넓은 갓을 쓰고 서 있는 거대한 석불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묶음이 있으며, 얼굴은 이목구비가 뚜렷..

[문화재답사/제천] 제천정방사목조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제천정방사목조관음보살좌상및복장유물 (堤川淨芳寺木造觀音普薩坐像및腹臟遺物)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6호 소재지 : 충북 제천시 수산면 능강리 산52 정방사 법당에 모셔져 있는 나무로 만든 관음보살좌상과 그 안에서 나온 유물들이다. 정방사는 제천시 수산면 능강리 금..

[문화재답사/곡성] 곡성도림사보광전목조아미타삼존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1호

곡성도림사보광전목조아미타삼존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1호 소재지 : 전남 곡성군 조선시대 17세기에 조성한 목조불로 본존불은 1664년, 좌우 보살상은 1680년에 조성하여 절대연대와 작자를 알 수 있어 가치가 있다. 본존상 전체 높이 122cm, 관음보살좌상 전체 높이 119.0㎝, 대세지..

목신리 보살상 - 향토유적 제55호 (용인시)

종 목 : 향토유적 제55호 (용인시) 명 칭 : 목신리 보살상(木新里 菩薩像)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목신리 147-2 설 명 : 목신리 구봉마을은 조선시대에 양지현 목악면 장승동이라 불리었다. 바로 이 불상이 있는 언덕길 마을 입구에 장승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을에서는 화강암 일석(一石)으..

미륵불의 고장, 안성의 국사암 궁예미륵을 찾아

미륵의 고장 안성 안성지방에는 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인 미륵불이 많아 남아 있어 미륵의 고장이라 불리기도 한다. 바로 아래에 있는 기솔리 쌍미륵을 구경하고, 국사봉 위쪽에 자리하고 있는 국사암의 궁예미륵을 보러가는 길은 차가 거의 한대 지나갈 수 있는 좁은 산길로 한참을 올라가야 만..

[문화재답사/영주]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보물 제681호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榮州 黑石寺 石造如來坐像) / 보물 제681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석포리) 흑석사 부근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모셔놓은 석조여래좌상으로 불상을 안치하는 대좌(臺座)와 온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는 옆에 ..

[문화재답사/영주] 흑석사마애삼존불상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

흑석사마애삼존불상 (黑石寺磨崖三尊佛像)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 소재지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산1380-1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의 자연암벽에 본존불과 좌우 협시보살을 새긴 마애삼존불이다. 본존불은 가슴 이하를, 협시보살은 목부분 이하를 새기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