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교육의 산실 전주향교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에 있는 전주향교는 사적 제379호로 1992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향교는 유학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해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전주향교는 고려시대에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당시에는 조선 태조의 영정을 모신 경기전(사적 제339호) 근처에 있었으나, 향교에서 들려오는 소리가 시끄럽다하여 전주성 서쪽 황화대 아래로 옮겼다 한다. 지금 위치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 관찰사 장만이 옮긴 것이다.
현재 이 향교에는 여러 훌륭한 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7호)을 비롯해 동무·서무, 계성사, 학생들을 가르치던 곳인 명륜당 등 여러 건물이 있다. 대성전은 효종 4년(1653)이 고쳐 세웠는데, 이기발이 중건기를 남겼다. 이후 융희 원년(1907)에 군수 이중익이 다시 고쳤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다. 명륜당은 광무 8년(1904)에 군수 권직상이 고쳤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의 규모이다.
우리의 옛 교육시설을 둘러볼 수 있는 이곳은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기능은 없어졌다. 그러나 봄·가을에 공자께 제사를 지내고 초하루·보름에는 향을 피우고 있다.
전주향교의 명륜당에서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전주향교 (全州鄕校) / 사적 제379호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26-3외
향교의 담장에 담쟁이덩굴이 가을 옷으로 갈아입고 있다. 얼마 안 있으면 잎들을 다 떨어뜨리고 겨울을 맞겠지.
홍살문
향교의 입구 만화루
일월문
대성전에서 가을날의 뜨락음악회를 하고 있다.
명륜당
명륜당 실내의 모습
명륜당에서 아이들이 흙장난을 하고 있다. 저렇게 자연과 노는 모습이 좋은데 요즘 아이들은 학원에 모든 시간을 뺐겨 그런 시간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
산수유가 빨갛게 익어가고 있다.
향교의 담장으로 앞의 담장과 대조를 이룬다.
오목대로 올라가는 길에 되돌아 본 향교
'전라북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여행] 조선왕조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전주의 오목대와 이목대 (0) | 2010.11.06 |
---|---|
[전주여행] 전주한옥생활체험관에서의 전통한옥체험 (0) | 2010.11.04 |
[전주맛집] 해장에 좋은 해장국의 맛을 찾아-엄마손 해장국 (0) | 2010.10.31 |
[전주맛집] 세계를 비비는 전주비빔밥축제의 체험마당 (0) | 2010.10.30 |
[전주맛집] 전주에서 한바탕 벌어지는 세계를 비비는 전주비빔밥축제 (0) | 2010.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