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전주의 오목대와 이목대
전주향교를 둘러본 후 일행들이 어디론가 산 비탈길로 하나둘 올라간다.
어디를 가는 걸까?
옆에 계신 분이 오목대와 이목대를 찾아가는 것 같다고 한다.
전주하면 조선의 건국과 관련된 경기전이 있다고 알았지만, 오목대와 이목대가 있다는 것은 처음으로 들었다.
어디이며, 무엇일까?
오목대이목대 (梧木臺梨木臺) / 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
소재지 :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3번지
전주향교에서 오목대 가는 길에 바라보는 전주시내
오목대와 이목대는 전주시 교동에 있는 나즈막한 야산에 있는 것으로 안내판을 보니 조선시대 왕실과 관련된 유적지다.
오목대는 고려 우왕 6년(1380) 운봉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이성계장군이 개선길에 군사를 이끌고 잠시 쉬어가던 장소로, 이를 기념하기 위해 광무 4년(1900)에 고종이 직접 쓴 “태조고황제주필유지 (太祖高皇帝駐畢遺址)”라는 비문을 새겨 놓은 비를 말한다.
이목대는 태조의 5대조인 목조 이안사의 출생지로 알려진 곳으로, 고종이 직접 쓴 비문을 통해, 조선 왕조의 시조인 이안사가 이곳에 살았었음을 알게 되었다. 조선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유적지는 조선 왕조의 뿌리를 찾을 수 있는 가치 있는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저 앞에 보이는 나즈막한 야산이 오목대다.
오가는 길 전체가 단풍으로 물들고 있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된 오목대이목대
황산대첩과 관련된 것이 오목대니 잠시 황산대첩에 대해 알아보자.
고려말 일본의 정치·정세가 극도로 혼란한 틈을 타 왜구들이 한반도에서의 노략질이 극심하였다. 이기간에 고려는 전국적으로 피해를 입었는데, 경상도·전라도·충청도 지역의 피해가 가장 심했다. 이 지역은 해안뿐 아니라 내륙지방까지 왜구의 발길에 짓밟혔다. 왜구는 수도 개경과 얼마 떨어지지 않은 강화 교동(喬桐)과 예성강까지 나타났다. 이에 고려정부에서는 최영(崔瑩)·이성계·나세(羅世)·최무선(崔茂宣)·박위(朴葳) 등으로 하여금 이들을 무찌르게 했다.
1375년(우왕 1) 대대적인 왜구의 침략에 맞서 최영은 홍산(鴻山)에서 적을 쳐부수고 대승을 거두었지만 침입은 계속되었다.
1380년 8월 왜구는 손시제(孫時制)를 우두머리로 하여 500여 척의 배를 타고 금강 어귀에 있는 진포(鎭浦 : 지금의 서천)에 상륙했다. 고려정부에서는 나세·심덕부(沈德符)·최무선을 지휘관으로 삼아 왜구를 치도록 했는데 최무선이 화약을 사용하여 적의 함선을 모두 불태워 대승을 거두었다. 이 싸움에서 왜구들은 배를 잃어버려 바다로 나갈 수 없게 되자 경상도 상주·구미, 충청도 옥천 등 내륙지방으로 들어가 더욱 잔인한 약탈과 살상을 자행했다. 이에 고려정부는 이성계를 최고 지휘관으로 삼아 쳐부수도록 했다. 왜구는 경상도 상주·선산·경산부(지금의 星州) 등을 차례로 노략질하고 지리산 근방의 사근내역(沙斤乃驛 : 함양)에 집결하고 있었다. 이성계는 운봉을 넘어 황산 서북쪽의 정산봉(鼎山峰)으로 나아가 이지란(李之蘭)과 더불어 악전고투한 결과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이 싸움에서 고려는 왜구의 말 1,600여 필을 얻고 기타 무기도 많이 노획했는데, 이를 황산대첩이라고 한다.
황산에서의 대승을 거둔 이성계는 돌아가는 길에 이곳 오목대에 들러 종친들을 모아놓고 전승 축하연을 배풀었다고 한다.
오목대의 모습
전주한옥마을 지붕들
전주비빔밥축제를 즐기러 사람들이 골목길을 오가는 것이 보인다.
전주한옥마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오목대에 오르기 위해 나무 계단을 이용하여 오르내리고 있다.
'전라북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맛집] "양념은 약이다"의 신념으로 밥상을 준비하는 함씨네밥상 (0) | 2010.11.12 |
---|---|
[전주맛집] 서울에서 맛볼 수 없는 전주의 막걸리, 두여인생막걸리 (0) | 2010.11.11 |
[전주여행] 전주한옥생활체험관에서의 전통한옥체험 (0) | 2010.11.04 |
[전주여행]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교육의 산실 전주향교 (0) | 2010.11.03 |
[전주맛집] 해장에 좋은 해장국의 맛을 찾아-엄마손 해장국 (0) | 2010.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