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의 길,맛,멋따라♣/절집 여행

[부여여행] 일제의 압박과 설움을 받으면서 조선왕조를 섬기고자 기원한 금성산의 조왕사

들꽃(野花) 2012. 8. 4. 06:00

[부여여행] 일제의 압박과 설움을 받으면서 조선왕조를 섬기고자 기원한 금성산의 조왕사

 

일제강점기에 대한 일본인불자들의 성금을 내어 종각을 세우기도 한 일본인과 인연이 닿아 있는 작고 아담한 절집인 금성산 조왕사

부여청소년수련원에서 하룻밤을 유하고

이른 새벽 가까이 산책을 할 수 있는 곳이 어디 있을까?하여 찾은 곳이 금성산에 있는 조왕사다.

조왕사는 절 이름이 '왕을 조근(朝覲)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압박과 설움을 받으면서 조선왕조를 섬기고자 기원한 듯하다. 근래의 일본 불자들이 자신들이 저지른 잘못된 역사에 대해 참회라도 하듯이 성금을 모아 종각을 세우는 불사를 하였다.

 

금성산 조왕사는 부여박물관 뒤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사찰이다.

1913년에 민영천이 절 뒤편에 매몰되어 있던 비로자나불상을 발견하면서 1919년에 김병준이 법당을 새로 짓고, 이 불상을 안치하면서 중창하였다. 그 뒤 정두영이 중창하면서 지금처럼 조왕사라 개칭하였다.

 

 

금성산 조왕사

근래에는 이건호가 조계종 사찰로 등록하였으며,

1981년에 요사를 건립, 1984년에는 일본인 불자들에 의해 종각을 세우는 불사를 하였으며,

1987년 대 홍수 때 사찰 뒤편 흙더미에서 석탑재(지대석 3개, 기단석 2개, 탑신석 2개, 옥개석 3개, 갑석 1개)와 원형 초석 7개, 그리고 어골문계통의 기와조각이 출토되었다. 이로 인해 조왕사는 고려시대의 폐사지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의 석불좌상과 함께 출토된 백제 금동불상은 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른 새벽

먼통이 트기 전 금성산의 조왕사를 찾으려 길을 나선다.

 

 

숙소인 부여청소년수련원에서 부여박물관으로 가는 길 좌측에 조왕사로 가는 이정표를 만나게 된다.

'천년석불 수원성취 도량'

'대한불교조계종 조왕사'

거리가 300m, 길이 포장되어 있어 천천히 걸을만하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길을 걸어간다.

일행과 둘이서 이야기를 나누며 가다보니 금방 올라갈 것 같다.

 

 

사실

콘크리트포장길이 아닌 흙길이 걷기야 좋겠지만

우리들처럼 여행삼아 찾아오는 분들에게야 흙을 밟는 느낌을 따진다면 포장길이 아닌 흙길이 좋으련만

여기서 사시는 분들에게는 비오는 날, 눈오는 날 등 참 고생이 많을 것 같다.

나의 눈과 발의 즐거움을 위한 것이 아니라 매일 같이 여기를 다니는 분들을 위한다면 포장길이 맞을 것이다.

 

 

 

오른쪽 울타리는 무엇일까요?

다름 아닌 국립부여박물관의 경계 울타리이다.

저 앞에 안내판이 보인다.

 

 

금성산 안내도

오늘 우리가 갈 곳은 조왕사다.

조금 더 둘러보고 싶지만 다음을 위해서 남기고 발걸음을 되돌렸다.

 

 

이정표가 여기저기를 알려준다.

 

금성산 안내도가 있는 곳의 산길을 돌자마자

높다란 석축과 그 위에 있는 요사채가 눈에 들어온다.

요사채를 보니 근래에 지은 것 같고 절이 상당히 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길은 계속 있는데

나는 여기 조왕사를 둘러본다.

 

 

오래된 벚나무(?)가 절 마당 한켠에 있어 절의 운치를 더해주고 있다.

일주문, 사천왕문 같은 큰 절에 있는 것들이 없지만 고려시대의 석불좌상과 오래된 석탑재들이 있어 제법 아담한 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보니

절집이 작고 아담하다는 생각이 든다.

대웅전과 요사채, 범종각 이 전부인 작은 사찰이다.

 

 

일본인 불자들에 의해 불사가 이루어진 범종각

역사 속 선조들의 잘못을 조금이라도 용서를 받으려는 작은 정성이 보인다.

 

 

백구 한 녀석이 느긋하게 있으면서 방문객에게 관심도 갖지 않는다.

이놈도 절집생활이 오래되어서 그런가?

 

 

대웅전과 삼층석탑 

 

 

1987년 대홍수 때 흙더미에서 발견된 석탑재를 다시 복원해 놓은 탑

'조왕사 석탑'이라 하여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전안에는 금성산 석불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제 제23호)이 안치되어 있다.

 

금성산 석불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제 제23호)

 

 

 

금성산 석불좌상은

금성산 남쪽 기슭의 옛 절터에 묻혀 있었던 것으로 병을 낫게 해주고, 아들을 낳는데 영험하다 하여 민간신앙의 대상으로 모시다가 최근 조왕사(朝王寺)라는 법당을 짓고 주존불(主尊佛)로 모시고 있는 전체높이 1.27m이고 대좌 높이는 0.96cm의 석불좌상이다.

 

몸체에 비하여 머리가 큰 편인데, 얼굴은 볼과 턱이 둥글고 풍만하며, 목은 짧게 표현되었다. 어깨는 곡선으로 처리되어 좁지만 둥근 배로 인하여 안정감이 있고, 신체 각 부분의 윤곽은 굵고 뚜렷하게 표현되었다. 옷은 신체에 밀착되어 무릎까지 덮고 있으며 옷주름은 간략하게 처리하였다. 양 손은 가슴에 모아 오른손이 왼손 검지를 잡고 있는데, 손과 발의 세부 조각 수법은 퇴화하여 형식화되었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모두 4각형이며, 상하대좌에는 연꽃무늬와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고, 중대석에는 연꽃봉우리가 조각되었다.

 

둔화된 세부수법과 간략한 옷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시대 불상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대웅전에 들어가 인사를 하고

사진을 찍고 나오려는 데 어르신 한분이 법당에 들어오시더니 불을 켜주시고 사진을 찍으라고 하신다.

그리고 불상 뒤의 좌대까지 설명을 하여주시는 등

불상에 대한 상당한 관심을 갖고 계신분을 만나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고,

어르신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큰 길까지 함께 내려왔다.

 

 

 

이른 새벽

그리 알려지지 않는 작은 절이지만

산책길에서 만난 조왕사는 천년을 넘게 내려온 석불좌상과 석탑을 간직한 사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