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의 길,맛,멋따라♣/절집 여행

[절집여행] 일곱가지 보물이 숨겨져있는 칠보산의 유금사에 전하는 장화부인의 전설

들꽃(野花) 2012. 9. 11. 09:56

[절집여행] 일곱가지 보물이 숨겨져있는 칠보산의 유금사에 전하는 장화부인의 전설

 

영덕의 칠보산

유금사가 위치한 곳은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 칠보산 동편 산자락에 있다.

신라 선덕여왕 6년(637) 자장율사가 왕명에 의해 해발고도 810m의 칠보산 기슭에 창건한 사찰이라고 하나 확실치 않고 조선중기까지 절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유금사는 여러차례 중건되었으나 화재등으로 소실되고 현 건물은 중수시 천장에서 나온 보자기 내용에 의해 조선 인조 5년(1627)에 중창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금사가 자리한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금이 많이 생산되어 신라시대에서는 국사에서 금을 채광하였던 곳으로 예로부터 금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전해내려 온다.

신라의 국보 금척(金尺) 역시 이곳에서 발견하여 신라 왕에게 진상하였다는 말은 그 가우네 하나이다.

유금사가 자리한 칠보산에는 일곱가지 보물이 감추어져 있다고 하여 칠보산이라 불리며,

선덕왕의 일곱공주가 이곳에 와 모두 출가하여 수도하다가 선화(仙化) 하여 신선이 되었으므로 칠보산이라 불렀다고도 전하는 산이다.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보물 제674호)

 

보물로 지정된 유금사 삼층석탑은

원래 대웅전 앞에 있었는데 대웅전이 무너져 뒤뜰로 옮긴 것이다. 이전할 때 탑속에서 금동불이 나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

 

 

 

칠보산자연휴양림과 유금사로 가는 갈림길

오른쪽 앞쪽길로 가세요.

그럼 유금사가 나올 것입니다.

 

 

일반적인 절에 있는 일주문이나 사천왕문, 금강문 등의 문이 보이지 않는다.

 

 

서운루

 

 

서운루 안의 특별한 그림이 있어 눈길이 찾아든다.

 

 

 

 

칠보산의 품에 안긴듯하다.

 

가건물과 향로전

 

종무소와 요사

 

향로전

대웅전이 위치한 축대 아래편에 북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석가모니불좌상이 봉안되어 있고 불상뒤에는 검은 바탕에 금선으로 그린 후불탱이 있다.

 

 

대웅전

자연석을 쌓아 낮은 축대를 이룬 터 위에 세웠으며 동향을 하고 있다.

맞배지붕으로 석가여래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1973년 대웅전을 보수하다가 천장에서 발견된 금서(金書)에 의해 1627년에 지은 것이 밝혀졌다.

 

 

석가여래삼존불

 

 

 

 

삼성각

대웅전 왼편 뒷쪽에 남향으로 건립되어 있는 건물로

원래는 신라 말기의 사람으로 신라의 마지막 태자인 마의태자를 사모하던 장화부인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웠던 산령각이 전신이다.

현재는 칭성탱을 중심으로 독성탱과 산신탱을 봉안하고 있다.

 

- 장화부인의 전설 -

유금사의 부속암자로 금선암이 있으니 신라 말 장화부인이 마의태자를 사모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이곳을 찾아와 출가한 곳이다.

장화부인은 사랑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축단을 설치하고 부처님의 가피력으로 마의태자가 왕위에 오를 것을 늘 축원하였다. 그러나 어느 날 경주에서 연락이 오기를 신라가 망하고 마의태자는 금강산으로 유랑하다가 죽었다는 소식이 왔다. 장화부인은 축단 앞에서 울며 마의태자가 극락왕생하기를 몇 날 몇 일을 잠도 자지 않고 아무 것도 먹지 않으며 간절히 빌다가 그만 죽고 말았다.

금선암에서 같이 지내던 사람들은 그녀의 일을 애통히 여겨 정성껏 장사지내고 묘도 크게 만들어 주었으니 이 묘가 지금도 남아 있다. 또한 그녀를 위해 신령각을 지었으나 나중에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보물 제674호)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탑으로 각 층의 크기가 줄어드는 정도가 적당하며 적당히 큰 기단부에 의해 안정감이 느껴진다.

각 기단의 면 가운데 기둥이 하나씩 새겨져 있는 것과 지붕돌 밑면의 받침이 4단이다.

탑 높이는 3.2m

 

 

 

 

 

 

 

 

석불좌상

근래에 조성된 대좌는 상하대에 앙복련을 조식하고 중대에는 불입상을 새겨 넣었다.

대좌 위에는 결가부좌한 불좌상이 손으로 병을 잡고 있으며, 다소 심체에 비하여 거대한 얼굴은 평면적이다.

양 어깨를 덮은 통견의 주름은 온 몸을 같은 간격의 사선으로 늘어져 발목까지 감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