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1호

들꽃(野花) 2013. 11. 2. 05:00

표충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 (表忠寺 石造地藏菩薩半跏像)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1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석조지장보살반가상은 아무런 손상 없이 완형으로 박물관내에 소장되어 있는데 복장물이 흩어져 없어졌다는 점은 다소 아쉬운 점이다. 그나마 1738년 불상중수기와 1796년 불사개금기의 기록 일부가 남아 있어 석조지장반가상은 적어도 18세기 전반이전에는 제작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양식적인 면에서 본다면, 표충사 지장보살반가상은 바람에 날리는 듯한 천의자락이 딱딱하고 경직되어 있는데 반해 이와 같은 형태로서 연대가 이른 1666년 보은 법주사 관음상과 비교하면 천의 자락이 힘이 있으면서 유려하여 시기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천의 형식은 연대가 가장 올라가는 법주사 관음전 불상을 기준으로 그 상한선이 17세기 중반이전으로는 올라갈 수 없을 것이며, 하한역시 1738년 이하로 내려갈 수 없어 본 작품은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전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지장보살상이면서도 단독관음상과 같은 천의 형식으로 법의를 입은 것은 흥미로우며, 이 상이 단독으로 봉안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석조지장보살반가상은 팔꿈치, 무릎 측면으로 도금이 조금씩 떨어져 나갔으나 이를 제외하면 상태는 양호하다. 한편 석조반가지장상이 보관된 진열장 향우측의 다음 진열장에는 석조지장보살반가상에서 나온 유리제 구슬 6과와 오곡약재의 일부, 경전인쇄물 3장, 불상발원문의 일부, 감색·분홍·녹색·보라색 천, 오색실의 일부가 진열되어 있다. 사찰측 전언에 따르면, 지장보살상의 복장에는 그 외에도 중수기와 개금불상기도 있었다고 하는데 重修記에는 ‘乾隆戊午十二月日 表忠祠 重修地藏一位’라 하여 1738년에 지장상을 중수하고, 개금불상기에는 ‘嘉慶元年 三月初五日’ 즉, 1796년 개금불사했다는 내용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도난사고로 인해 모든 복장유물이 흩어져 이 내용 외에는 알 수 없다고 전한다.

 

저부좌대보다 높은 자리에 허리를 세우고 어깨와 머리는 약간 숙인 채 오른쪽 다리를 올려 왼쪽 다리에 두는 반가자세를 취했으며, 양손은 나란히 무릎 위에 두었다. 다리에 비해 상반신이 긴 편이며,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것은 조선후기 불상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랐다. 방형의 얼굴에 민머리로 이마선의 경계로부터 머리는 녹색으로 칠해져 있다. 사선으로 올라간 눈과 눈썹에서 이어지는 오똑한 코, 좁은 인중과 입가에는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젊고 밝은 인상을 준다.

 

어깨에 숄처럼 걸친 천의는 목덜미에서 3단으로 접었으며, 겨드랑이로 빼낸 양 자락을 다시 팔꿈치로 빼내어 손목 위로 넘겨 내렸다. 특히 겨드랑이로 빼낸 천의자락은 바람에 나부끼듯 표현되었는데 이와 같은 표현법은 법주사 관음전 불상이나 양산 통도사 관음전 불상, 부산 범어사 관음전 불상 등 주로 단독관음상에 주로 등장하고 있어 흥미롭다. 가슴아래에는 군의와 비늘모양의 장식이 있는 짧은 요의 같은 것을 이중으로 입고 띠로 묶어 띠 자락을 가지런히 내렸으며 다리를 덮은 군의는 날카로운 듯한 파형의 주름을 이루면서 아래로 흘러내린다.

 

 (문화재청 자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