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제일의 생왕청-임실 성수산 상이암
신라말 도선국사가 이 산을 둘러보고 천자봉조지형이라 탄복하였다는 성수산, 고려의 왕건이 백일기도 끝에 고려 건국의 대업을 성취할 수 있는 계시를 받았고, 고려말 이성계도 이곳을 찾아 치성을 올린바 삼업의 청정함을 깨달았으며 하늘에서 천신이 내려와 손을 귀 위로 올리며 성수만세라 세번 외치는 용비어천의 길몽을 얻었다는 성수산이다.
도선국사는 송도로 올라가 왕건의 부친 왕융을 찾아 왕건으로 하여금 이곳 성수산에서 백일치성토록 은밀히 권하였으며 고려말 무학대사의 권유로 태조 이성계도 이곳에서 치성을 올렸다고 한다.
성수산은 해발 876m로 임실의 주산이다.
장수 팔공산 준령이 치달아와 우뚝 멈춘 세 가닥 중 힘찬맥을 형성하고 있으며 호남의 미목으로 여덟왕이 나올 길지라 일러온 명산이다. 이곳은 구룡쟁주지지라는 이는 아홉마리의 용이 구슬을 물려고 다투는 형국이라고 한다.
구룡지지인 이곳은 군신조회형으로 임금 앞에 여러 신하가 조례를 하는 형국이니 산세가 그토록 좋아 천기와 지기로 인하여 생기가 넘쳐나고 있는 곳이다.
성수산 상이암 경내에는 삼청동비, 환희담, 청실배나무, 상이암부도, 산신각, 무량수전, 요사채 등이 있다. 무량수전의 맞은편으로 마치 바위 여러 개를 정형성 없이 쌓아놓은 듯한 향로봉은 이 곳을 쫓아서 성수산에서 내려오는 9개 지맥이 마치 여의주를 향하고 있는 구룡쟁주의 형국으로 알려져 있다.
성수산 상이암
도선국사가 창건하여 도선암이라고 불렀던 것을 조선 태조가 이곳에서 기연을 얻은 후로 상이람이라고 이름을 고쳤다고 한다.
무량수전 맞은 편의 향로봉
이 곳을 쫓아서 성수산에서 내려오는 9개 지맥이 마치 여의주를 향하고 있는 구룡쟁주의 형국으로 알려져 있다.
상이암 화백나무
몸통은 하나요, 아홉가지가 강하게 뻗어 올라가는 나무가 상이암 무량수전 앞마당에 있다.
아홉가지의 의미는 성수산 구룡쟁주형의 기운과 무관하지 않다.
수령은 120년이다. 화백나무 그늘 아래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 나무의 기를 충만할 수 있다.
무량수전
이성계는 1380년 황산대첩에서 왜군을 크게 물리치고 돌아가던 중 무학대의 권유로 고려 태조 왕건이 가르침을 바등 니곳을 찾아 백일기도를 올렸다. 3일을 환희담에서 목욕재계하는 동안 동자승이 나타나 씼으면서 환담을 나누었는데 그 동자승이 바로 부처였다는 것을 깨닫고는 석면에 세 글자를 새겼으니 이것이 삼청동이다.
그날 밤에 신광이 하늘을 꿰뚫고 서기가 공중에 서리면서 한 가닥 무지개가 하늘로 뻗히며 공중에서 소리가 세 번 들리기를 '이공은 성수만세를 누리리라'하였다.
환희담
왕건이 대업을 이루기 위하여 백일기도를 올리고 못에서 몸을 씻는데 이때 부첨임의 영험을 얻어 기쁜 마음으로 바위에 환히담이라고 글자를 세겼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계곡을 정비하다가 큰 바위에서 거의 마모가 되어버린 글씨가 발견되어 글씨 부분을 절개하녀 현재 위치의 칠성각 앞에 모셔놓고 있다.
상이암부도
부도는 고승의 사리를 모신 묘탑으로 해월당, 두곡당 당호가 음각되어 있는 탑심을 조선중기로 추정된다.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150호
문화재자료 제124호
청실배나무
수령이 600년이 넘는 청실배나무는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 드리며 심었다고 전해진다.
청실배나무는 사찰이나 서원에서 향사를 올릴때 쓰는 과일이며, 옛날에는 과일이 흔하지 않아 서원이나 사찰을 지을 때 배나무를 심어 과실이 익으면 불전이나 영전에 바쳤다.
산신각
'전라북도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 새로운 세상을 여는 기준_마이산 은수사 금척 (1) | 2021.10.12 |
---|---|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 남원의 황산대첩비,피바다.여원치마애불상 (0) | 2021.10.10 |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 전주 오목대와 이목대 비각 (0) | 2021.10.08 |
전북 태조 이성계 역사탐방 - 발자취를 찾아 떠난 1박 2일 (0) | 2021.10.07 |
[김제여행] 일제 수탈을 위해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시멘트 다리, 새창이다리(만경대교) (0) | 201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