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시도유형문화재 713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서원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

표충서원 (表忠書院)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2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서원은 임진왜란 때 승병으로서 나라를 구하는데 큰 공을 세운 서산대사·사명대사·기허당 3대사의 충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선조가 표충서원이라 사액했다고 전한다. 원래는 사..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지장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9호

표충사지장탱 (表忠寺 地藏幀)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9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사 冥府殿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탱은 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권속인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그리고 4대보살과 4천왕, 용왕 2위, 동자, 동녀 등을 비단 바탕 위에 좋은 안료를 ..

[문화재답사/밀양] 표충사 석등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

표충사석등 (表忠寺石燈)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23 표충사 경내에 삼층석탑(보물 제467호)과 함께 서 있는 석등으로, 원래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석등의 높이는 2.4m이며, 석등은 8각의 간주(竿柱) 위에 상대석(上臺石), 화사석(火..

[문화재답사/밀양]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7호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密陽 如如精舍 木造觀音菩薩坐像)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7호 소재지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리 1058 밀양 삼랑진읍 행곡리에 있는 여여정사에 있는 불상으로, 이 불상은 허리는 세우고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자세이다. 소형의 불상이지만 ..

[문화재답사/임실] 상이암 부도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상이암부도 (上耳庵浮屠)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50호 소재지 : 전북 임실군 성수면 성수리 산85 상이암은 성수산 골짜기에 있는 암자로 신라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창건하여 도선암(道詵庵)이라 하였다고 하는데, 도선국사가 고려 태조 왕건과 강산을 답사하던 중에 성수산(聖..

[문화재답사/거창] 고견사 석불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고견사석불 (古見寺石佛)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3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고견사 고견사 석불은 신라 문무왕 7년(177)에 창건된 고견사 경내에 안치되어 있는 석조여래상으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불상이 안치된 고견사는 667년(신라 문무왕 7)에 창건된 절이다. 고견사 석불은 전체적으..

[문화재답사/거창] 춘당문집 책판 및 춘정집 책판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춘당문집 책판 및 춘정집 책판 (春堂文集冊板및春亭集冊板)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가조면 사병리 1119 조선초기 문신 춘당 변중량의 문집과 그의 아우 춘정 변계량의 실기책판으로 500년전에 배나무로 판각한 것이다. (1) 춘당집 책판 춘당집 책판은 변중량의 ..

[문화재답사/거창] 대동여지도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75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거창박물관 대동여지도는 조선후기 지리학자인 고산자 김정호가 순조 34년(1834)에 자신이 만든 <청구도>를 27년 후에 증보 수정한 대축척 지도로 분첩절첩식지도첩이다. 형태를 보면, 남북을 120리 간격으..

[문화재답사/거창] 대전선생실기책판 및 교지(홍패) - 경상남도 유형문화제 제246호

대전선생실기책판및교지(홍패) (大田先生實記冊板및敎旨(紅牌))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6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거창박물관 조선시대 문신으로 세조 3년에 순흥부사로 재직시 유배되어 온 금성대군과 단종복위를 도모한 이보흠(1398-1457) 선생의 실기책판이다. 목판은 총 87매이며 크..

[문화재답사/거창] 송림사지석조여래좌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1호

송림사지석조여래좌상 (松林寺址石造如來坐像)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1호 소재지 : 경남 거창군 거창박물관 송림사지 석조여래좌상은 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석불로 마리면 말흘리 송림마을의 절터에서 출토되어 마리중학교에 보관되어 있던 것은 박물관 개관시 옮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