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문화재답사/김제] 문수사목조석가여래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문수사목조석가여래좌상 (文殊寺木造釋迦如來坐像)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소재지 : 전북 김제시 황산동 6 문수사는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에 위치한 사찰로, 백제 무왕 25년(624) 혜덕선사가 꿈에서 문수보살을 보고 이 절을 지었다고 전해온다. 950년 불에 타고 현판만이 지금의 ..

[문화재답사/김제] 문수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문수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 (文殊寺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8호 소재지 : 전북 김제시 황산동 6 문수사는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에 위치한 사찰로, 백제 무왕 25년(624) 혜덕선사가 꿈에서 문수보살을 보고 이 절을 지었다고 전해온다. 950년 불에 타고 현판만이 지..

[문화재답사/김제] 금산교회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

금산교회 (金山敎會)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 소재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290-1 금산교회는 전주선 교부의 미국 선교사 데이트(Lews Boyd Tate)가 지은 한옥교회이다. 조선 예수교 장로회의 사기(事記)에 의하면, 처음의 교회는 1905년에 5칸으로 지었으나, 1908년 지금의 자리로 옮..

[문화재답사/금산]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65호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錦山 寶石寺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65호 소재지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09 금산 보석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34m, 가슴높이의 줄기 둘레가 10.72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서쪽이 24m, 남·북쪽이 20...

[문화재답사/금산] 보석사대웅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3호

보석사대웅전 (寶石寺大雄殿)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43호 소재지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11 금산의 보석사는 통일신라 헌강왕 12년(886)에 조구대사가 처음 세운 역사 깊은 절이다. 교종(敎宗)의 대본산(大本山)이며 한국불교 31본산의 하나로 전라북도 불교의 이사중추기관(理事..

[문화재답사/논산] 논산명재고택 - 국가민속문화재 제190호

논산명재고택 (論山 明齋 古宅) / 국가민속문화재 제190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0 (교촌리) 논산명재고택은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유학자 명재 윤증의 고택으로 노성산성이 있는 노성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 노성 궐리사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

[문화재답사/논산] 노성향교 -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

노성향교 (魯城鄕校) /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308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노성향교는 본래 노성면 송당리 월명곡 근처, 지금의 노성초등학교 자리에 세웠다고 하나 세..

[문화재답사/논산] 노성궐리사 - 충청남도 기념물 제20호

노성궐리사 (魯城闕里祠) / 충청남도 기념물 제20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294 궐리사라는 이름은 공자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인 궐리촌에서 유래한 것이다. 숙종 13년(1687) 우암 송시열이 궐리사를 세우려고 했으나 2년 뒤 왕세자(경종) 책봉 반대 상소로 사약이 내려져 세상을 ..

[문화재답사/논산] 이삼장군고택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7호

이삼장군고택 (李森將軍故宅) /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7호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 51 조선시대 무인인 이삼(1677∼1735) 장군의 고택이다. 이삼장군이 훈련대장으로 있던 영조 3년 이인좌의 난(1727)을 평정한 공으로 영조로부터 하사 받아 지은 집이다. 이삼 장군은 함평인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