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61

[문화재답사/부여]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20호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扶餘 珠岩里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20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외 4필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문화재답사/부여] 부여저동리쌀바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

부여저동리쌀바위 (扶餘苧洞里쌀바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1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저동리 산33-5 산중 턱에 있는 높이 30m의 거대한 자연석 바위로, 일명 ‘쌀바위’라 불리는데, 이렇게 불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예전에 한 노파가 대를 이을 손자를 얻..

충청남도여행 2008.01.27

[문화재답사/부여] 화성리오층석탑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9호

화성리오층석탑 (花城里五層石塔)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89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화성리 601 화암사라는 작은 암자의 앞마당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옛 절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암자를 지을 때 함께 복원해 놓은 이 탑은 많은 부분들이 없어져 원래의 모습을 잃어가고..

[문화재답사/부여] 부여무량사명부전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9호

부여무량사명부전 (扶餘無量寺冥府殿)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9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부여 무량사 명부전은 극락전 전면의 동편에 있는 건물로서 지장보살을 모시고 명부의 시왕상(十王像)을 모셨으며 일명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부른다. 건물기단은 자연석을 ..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김시습부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무량사김시습부도 (無量寺金時習浮屠)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5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산125-1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김시습은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

[문화재답사/부여] 김시습 영정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4호

김시습 영정 (金時習 肖像)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4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매월당 김시습(1435∼1493) 선생의 초상화이다. 김시습은 생육신의 한사람이며 조선 전기의 유학과 불교에 능통한 학자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인『금오신화』를 남겼을 ..

[문화재답사/부여] 부여무량사삼전패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부여무량사삼전패 (扶餘無量寺三殿牌)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부여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전패 3기로, 규모는 높이 150㎝, 폭 53.5㎝이다. 1654년에 만들어진 삼전패는 머리, 몸체, 대좌의 삼단(三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부..

[문화재답사/부여]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부여무량사지장보살및시왕상일괄 (扶餘無量寺地藏菩薩및十王像一括)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부여 무량사 명부전에는 중앙 불단 위의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중심으로 그 측면에 무독귀왕(無毒鬼王)과 도명존자(道明尊者)의 삼존상이 있고 ..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미륵불괘불탱 - 보물 제1265호

무량사미륵불괘불탱 (無量寺彌勒佛掛佛幀) / 보물 제1265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미래불인 미륵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 여덟구씩의 화불을 그린 괘불인데, 괘불이란 야외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진행할 때 예배를 드리는 대상으로 법당 앞 뜰에 걸어놓..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동종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무량사동종 (無量寺銅鐘)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주석과 청동의 합금의 비율이 매우 잘게 배합된 재질로서 균형잡힌 종신과 더불어 풍부하면서도 안정감을 주는 1636년에 조성된 범종으로서 종에 새겨진 여러 문양들과 배치는 16세기 전반기..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오층석탑출토유물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무량사오층석탑출토유물 (無量寺五層石塔出土遺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0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971년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제185호)에 대한 해체·복원 작업중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석탑 1층 몸돌에서 아미타불좌상을 주존으로 한 금동제 삼존불이 나왔고, 3층..

[문화재답사/부여] 무량사당간지주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

무량사당간지주 (無量寺幢竿支柱)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 소재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는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쪽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