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꽃의 문화재답사 3109

[광명여행]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의 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능, 광명 영회원 - 사적 제357호

[광명여행]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의 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능, 광명 영회원 - 사적 제357호 사적 제357호 광명 영회원 광명의 여행은 따뜻하니 여행하기 좋은 날이다. 오리 이원익선생의 충현박물관과 가학동 지석묘를 둘러보고 인천 집으로 돌아가는 길 잠시 방향을 틀어 영회원을 찾는..

[제주여행]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이 어우러지는 곳에 위치한 산방연대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21호

[제주여행]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이 어우러지는 곳에 위치한 산방연대 -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21호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3-21호 산방연대 산방연대 산방연대는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있는 산방산 앞 도로의 바다쪽 언덕 위에 있다. 위쪽으로는 산방산, 아랫쪽은 용머..

[남원여행] 지리산 뱀사골 깊은 골, 와운마을의 지리산천년송 - 천연기념물 제424호

[남원여행] 지리산 뱀사골 깊은 골, 와운마을의 지리산천년송 - 천연기념물 제424호 천연기념물 제424호 지리산천년송 지리산 뱀사골의 깊은 골 와운마을을 찾아간다. 와운마을은 와운(臥雲)의 한자와 같이 지리산의 구름도 누워간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지리산의 구름도 누워간다는 와운..

[강화여행] 봉은사지 절터에 있는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 보물 제10호

[강화여행] 봉은사지 절터에 있는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 보물 제10호 보물 제10호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선다. 어제부터 간간히 내린 비가 길을 나선 나그네와 벗을 삼자고 한다. 이른 새벽 빗속을 걸으며 둘러보는 나무들의 잎이 싱그럽다. 지금 가는 길의 목적지는 ..

[강화/교동여행] 한국 최초의 향교, 공자의 초상화를 모셨다는 강화 교동도 교동향교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

[강화/교동여행] 한국 최초의 향교, 공자의 초상화를 모셨다는 강화 교동도 교동향교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 교동향교 강화와 황해도 사이에 놓여 있는 섬, 교동도 교동도는 지금은 휴전선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사람들의 발길이 쉽게 허락되지 않..

[강화/교동여행] 강화군 교동에 있는 교동읍성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3호

[강화/교동여행] 강화군 교동에 있는 교동읍성 -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23호 교동읍성, 인천광역시기념물 제23호 강화를 여행하면서 서북쪽에 다다르면 하점면 창후리란 마을을 만날 수 있는데 그곳에는 교동을 오고갈 수 있는 선착장이 있다. 교동은 창후리에서 배를 타고 들어갈 수 있었..

[장성여행] 백양사 백학봉 아래 조성되어 의약재료로 사용된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153호

[장성여행] 백양사 백학봉 아래 조성되어 의약재료로 사용된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 천연기념물 제153호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53호 장성의 백양사 백양사는 나그네의 발길을 끊임없이 유혹하였지만 항상 아음으로만 끝난 발길 그 어려운 발길을 시간을 만들어 길을..

[정읍여행] 신라말 유학자 최치원을 모신 서원철폐령에도 남아있는 정읍 무성서원 - 사적 제166호

[정읍여행] 신라말 유학자 최치원을 모신 서원철폐령에도 남아있는 정읍 무성서원 - 사적 제166호 정읍 무성서원 사적 제166호 전북 모악산 인근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남쪽으로 길을 잡는다. 장성의 백양사를 찾고 고향 후배를 만나기 위해 길을 떠나는 것이다. 모악산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영동여행] 5월의 이른시간에 찾은 고택은 고요함만이 흐르고, 영동 규당고택 - 국가민속문화재 제140호

[영동여행] 5월의 이른시간에 찾은 고택은 고요함만이 흐르고, 영동 규당고택 - 국가민속문화재 제140호 영동규당고택 - 국가민속문화재 제140호 5월의 어느날 영동읍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이른 시간 규당고택을 찾는다. 너무 이른 시간이라 출입문은 굳게 닫혀있고 담벼락 아래에 피어있..

[보은여행] 우리나라 유일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 천연기념물 제518호

[보은여행] 우리나라 유일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 천연기념물 제518호 '고욤 일흔이 감 하나만 못하다' 이렇게 홀대 받는 고욤나무지만 그 감을 얻기 위한 감나무를 접붙일 때 사용하는 나무(밑나무)가 바로 고욤나무라는 사실을 알고나 있을까? 그래서 함부로 홀..